임직원 76명→279명으로 약 4배 증가
자산규모 3조4556억원→7조365억원으로 2배 증가
“북항재개발 2단계 추진 통한 2030부산EXPO 유치 지원”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 항만인 신항 2-5단계 터미널 개장으로 한 단계 도약
![]() |
▲BPA의 창사 19주년 각 분야별 경영성과 지표. BPA 제공 |
[로컬세계 부산=기우치 기자]부산항만공사(BPA)가 16일 창립 19주년을 맞이해 그동안의 경영성과와 향후 계획을 밝혔다.
BPA는 2004년 최초 출범 당시 임직원은 76명에서 현재 약 4배 증가한 279명으로, 자산은 3조 4556억원에서 2배 증가한 7조365억원으로 증가했다.
예산은 1434억원에서 8.5배 증가한 1조 2185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조직은 3본부 15개 부서에서 3본부 2사업단 23개 부서로 확대됐고, 아시아와 유럽, 미주 지역에 5개의 대표부를 운영 중이다.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4년 1041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에서 2022년에는 2191만TEU로 2배 성장했다. 특히 지속되는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사태에도 불구하고 세계 환적 2위 항만이라는 입지를 굳혔다.
▲16일 강준석(왼쪽에서 세 번째) BPA 사장 등 노·사 관계자들이 창립 19주년 기념식장에서 축하떡을 자르고 있다. BPA 제공 |
부산항의 항만시설도 그동안 괄목할만한 성장을 했다. 선석은 올해 신규 개장이 예정된 터미널을 포함하면 2004년 20개에서 올해 2.5배인 49개로 늘었다. 컨테이너선박 접안시설 길이는 올해 12.7km로 2004년 5.7km와 비교해 2.2배 증가했다.
작년은 BPA가 어느 때보다 발 빠르게 움직였던 한 해였다.
연이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도 터미널 간 내부통행로(ITT)를 활용하는 등 신속한 선제 대응으로 안정적인 항만운영을 이뤄냈다.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의 기반시설을 준공해 북항을 146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되돌려 주고 부산시 2030 엑스포 유치 지원에도 힘을 보탰다.
국내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주요 거점에 설치한 물류센터 운영을 확대하는 등 해운항만 분야 공공성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BPA는 2023년 올해 북항과 신항의 운영개선 등으로 부산항의 효율성을 높여 전년 대비 2% 증가한 2231만TEU의 물동량을 목표로 하고, 배후단지 운영 고도화로 물량 및 고용 증대를 이루는 등 부산항 해운물류산업 경기 회복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세계 2위 환적항으로서의 글로벌 위상을 강화하고, 해외 물류 네트워크를 확대해 국내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 강준석 BPA 사장이 16일 창립 19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BPA 제공 |
신규 항만 확대 및 스마트항만 인프라 고도화, 2030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한 북항재개발 추진 등 부산항 개발도 차질 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국민과 근로자가 신뢰하는 안전한 부산항 실현,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항만 선도,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터미널 효율 증대, 여객·크루즈 운항 재개를 통한 해양관광 수요 회복 등 지속 가능한 부산항을 만들기 위한 노력에도 박차를 가한다.
강준석 BPA 사장은 “올해는 부산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정적인 개장과 2030부산엑스포 유치 지원을 위한 차질 없는 북항재개발 수행, 세계항만 업계를 선도하는 탄소중립·디지털 전환 가속화 등을 통해 부산항이 세계적인 항만의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