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계기로 등산,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야외 레저(등산·캠핑) 관련용품 수입액 크게 늘었다.
30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역대 최대 수입 실적(3억5500만 달러)을 기록한 데 이어서, 올해(1~10월) 동기간 역대 최대 수입액을 기록 중으로 다시 한번 연간 최대 수입액을 경신할 것이란 예상이다.
코로나 기간에 야외 레저용품(등산·캠핑) 수입액(2019년 1월~10월 대비 2022년 1월~10월) 규모 2.4배 증가(등산 1.7배, 캠핑 2.6배)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4월 18일)된 올해 야외 레저활동 관련용품 수입은 상승 폭 둔화에도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다.
![]() |
요인은 코로나를 계기로 야외 레저활동(등산·캠핑) 인구의 증가로, 감염병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밀집도가 높은 도심을 피해 한적한 시외를 찾으며 등산, 캠핑 유입인구 증가에 따른 것이다.
최근에는 거리두기 해제 후 첫 가을 단풍철 등 야외 레저활동이 늘며 관련용품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지난 1~10월 등산용품 수입액 4300만 달러(전년동기대비 74.5%↑), 캠핑용품 2억6200만 달러(△3.9%↓)를 기록했다.
등산 용품은 등산화(3080만 달러), 등산스틱(1180달러) 순으로 수입이 늘었다. 지난 10월까지 등산용품(등산화, 스틱) 수입액(4270만 달러)은 코로나(2020년~) 이후 최대로, 이미 지난해 연간 수입액(2920달러)을 상회했다.
등산화 수입은 10여 년 전 아웃도어 열풍 이후 다시 증가, 특히 스틱은 올해(1월~10월) 수입이 지난해 연간 수입액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거리두기 해제 후 첫 가을 단풍철 맞아 최근 등산화 수입 큰 폭 증가했다. 등산화는 베트남, 중국, 등산스틱은 중국, 대만 등에서 주로 수입했다.
캠핑용품은 텐트(1억5300만 달러), 캠핑트레일러 (5660만 달러), 그늘막(376만 달러), 에어매트(1460 달러) 순으로 수입했다.
지난해 캠핑용품 연간 수입(3254만 달러) 역대 최대 이어, 올해(1월~10월, 2617만 달러) 텐트, 그늘막 등 일부 품목이 동기간 역대 최대 수입액을 기록하는 등 수입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
대표 캠핑용품인 텐트는 코로나를 계기로 수입이 가파르게 증가, 또한 오토캠핑(차를 활용한 캠핑), 차박(차에서 숙박) 등이 유행하며 캠핑트레일러 수입 역시 증가 추세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