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경기 수원특례시가 오는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도시–농촌 상생협력 정책토론회’를 열고, 도시와 농촌이 함께 지속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한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수원시와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인구감소지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봉화군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지방자치학회, 국토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대도시연구원협의회, 수원시정연구원이 공동 주관한다. 행사는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공식 콘퍼런스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개회사를 통해 도시 자원을 지방과 공유하는 ‘도시–농촌 연대형 정책’을 강조하고, 청량산 수원캠핑장 사례와 같은 도농 상생 모델을 소개할 예정이다.
토론회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지속적 협력 기반 마련을 주요 의제로 다룰 계획이다. 발표자로는 ▲이차희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지방 소멸 현황과 문제점, 전망’) ▲김도영 수원시 정책실장(‘도–농 생활 인프라 상생협력 사례’) ▲오형은 지역활성화센터 대표(‘도시–농촌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발표에서는 ▲‘도농상생협력 촉진법’(가칭) 제정 ▲도농상생협력기금 설치 ▲지방소멸대응기금 내 ‘도농상생계정’ 신설 등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소개될 예정이다.
패널토론은 이향수 한국지방자치학회장이 좌장을 맡고, 박중근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제도과장, 조판기 국토연구원 경영부원장, 이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연구본부장, 이상범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정책실장, 오명근 청주시정연구원 연구본부장이 참여한다. 논의 주제로는 도시–농촌 상생 정책 확산 전략, 제도적 뒷받침 방안, 정부–지방 간 협력체계 구축 방안 등이 포함된다.
이재준 시장은 “지방 소멸은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국가 균형발전을 위협하는 구조적 과제”라며 “중앙 지원뿐 아니라 지방 간 상생협력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