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제공. |
이날 연구소는 지난해 성과보고를 시작으로, 차선우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소장이 지자체 출연 연구소 운영 현황과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차 소장은 “민선 7기 고창군의 제1번 군정방침인 농생명 식품산업을 살리기 위해선 군청, 의회, 농가 및 식품가공업체가 연계 돼 협업이 이뤄져야 연구소의 본연의 역할을 발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제학 교수(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는 연구소 향후 연구 방향 등에 대해 “고창군 지역의 농생명 소재를 활용한 의약품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정호 의원(고창군 의회 산업건설위원장)은 “인삼, 더덕, 엉겅퀴 등 고창에서 자란 토종 양용작물 재배 및 기능성 제품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의견을 더 했다.
또 신동화 소장(신동화식품연구소)을 좌장으로 임정호 의원 (고창군의회 산업건설위원장), 배기영 과장 (고창군 농어촌식품과), 이영은 교수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인석 대표(삼보죽염), 전정태 부장(상하농원) 등이 참석해 군민과 연구소가 발전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약 1시간에 걸쳐 심도 있는 의견을 주고받았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고창군 농업기술센터와 연구소와의 업무와 역할에 대한 인식 구분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농업기술센터는 재배 및 육종 연구, 농업기술지도 등을 담당하고, 연구소는 식품가공, 기능성 연구, 가공기술 교육 등의 역할 등을 맡고 있다.
이밖에 참석자들은 지역 농민과 업체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연구소를 강조했다.
조성욱 소장은 “고창군의 농생명식품 분야의 핵심기관으로 매년 군민과 농가(식품기업)등에 귀를 기울이고 더욱 더 발전하는 연구가 될 수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