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촌이 지닌 생태적 가치에 주목해야
![]() |
▲저자 소개 및 도서 이미지.(출처=농민신문사) |
[로컬세계 길도원 기자]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전염병이 지구촌을 혼란으로 몰아넣고 있다. 과학자들이 꼽는 주범은 바로 우리, 21세기 인류다. 자연을 파괴해 도시를 넓히는 동안 야생동물은 서식지를 잃었고, 야생동물에 기생하던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쳐 새로운 숙주인 인간에게 달려들었다.
인류가 이뤄온 산업문명은 해결책이 될 수 없음을, 우리는 마스크를 낀 채 하루하루 견디며 힘겹게 깨닫는 중이다. 백신이 나온다고 끝이 아니다. 그 사이에 또 다른 변종 바이러스가 생기면 사태는 원점으로 돌아간다. 이제 거시적인 안목의 대책이 필요하다.
이 책은 ‘농산촌유토피아’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사진으로 제안한다. 농협중앙회 임원, 농민신문사 사장 등을 역임하며 우리 농업・농촌의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해온 저자(현의송 한일농업농촌문화연구소 대표)는 “인류사회가 농산촌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지구촌의 난제를 푸는 데 활용할 때가 됐다”고 본다.
농산촌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농산촌에 건설한 인류의 이상향’이다. 1차 산업이 영위되는 현실 공간인 농산촌(農山村)을 꿈의 공간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아지랑이처럼 손에 잡히지 않는 유토피아(Utopia)를 현실 사회와 연결시키는 개념이다.
농협이 2020년 초 이성희 회장 체제가 출범하면서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농(農)토피아’와도 일맥상통한다. 현실에서는 경제적으로 윤택하고 자연환경이 청정하며 복지수준이 높은 유럽이나 일본 등지의 생태도시가 될 것이다.
저자는 ‘자연과 인간이 친화적 관계를 만들어, 인간이 안식을 얻고 문명의 폐해를 멀리할 수 있는 곳’으로 농산촌유토피아를 제시하며, 이를 찾기 위한 관찰과 여정을 40여 편의 칼럼에 담아 책으로 엮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