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노출효과만 중요시할 것 아니라 조속히 안전기준 마련해 시민 안전 고려해야”
![]() |
▲ 사진제공=정용기 의원실 |
또한 이로 인해 탑승객들의 안전이나 시야 등은 고려하지 않고, 광고 노출효과만 중요시하는 버스정류소 시설이 상당수 들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정용기 의원은 지난 17일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버스정류장 안전문제를 지적하면서 버스정류소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을 촉구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010년부터 가로변 버스정류소 개선사업을 추진하면서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에 관련 업무를 위임했으며, 버스운송사업조합은 민간 컨소시엄에 버스정류소 설치를 위탁한 바 있다.
이후 서울시 내에는 2285개소의 버스정류소에 승차대 등 편의시설이 새롭게 설치됐으나, 이 중 탑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어진 곳이 상당수 드러났다.
이는 서울시의 버스정류소 설치기준이 1998년 만들어진 것이 유일할 뿐만 아니라 이마저도 현재 버스 운영체계와 다른 좌석, 일반, 마을버스 등 과거 기준으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이다.
특히 민간에서 설치하고 있는 버스정류소는 4개 면의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광고의 노출효과를 중요시하다보니 이용객의 안전이나 시야 등은 고려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서울시는 이에 대해 “서울시 버스정류소 설치기준은 정류소 간격을 300~500m 이내로 정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뿐 시설에 대해 관여할 바가 아니다”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서울시는 광고를 통해 연간 수백억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큰 이권을 대기업 컨소시엄에 넘기면서 20년 가까이 된 관련규정을 한 번도 거들떠보지 않은 것”이라며, “메르스 혼란을 틈타 은근슬쩍 대중교통 요금을 올린 서울시가 시민의 안전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가 민간에 맡겨놓은 버스정류소 개선사업이 시민의 안전을 고려하지 않고 추진되는 것은 무책임한 행정”이라며, “서울시는 조속히 버스정류소에 대한 안전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