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유두종(HPV) 바이러스로 발생하는 사마귀는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크기가 커지고 주변으로 번질 수 있어 발생 초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마귀는 액화 질소가스를 이용한 냉동치료, 탄산가스 레이저 또는 펄스 다이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치료, 국소 주사 요법, 약물 도포 등의 치료 방법이 있다.
![]() |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전문의, 의학박사) |
치료 방법마다 차이는 있지만 사마귀를 치료할 때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뿐 아니라 성인도 사마귀 치료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사마귀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크기가 커지고 여러 곳으로 전이된 경우 치료가 어려워지고 수 차례 치료를 받아야 하므로 더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어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러스 질환인 사마귀는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기에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유아나 어린이들이 쉽게 발생할 수 있어 아이의 피부에 이상 증상이 있다면 피부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아이들의 경우 사마귀가 생겼을 때 호기심으로 사마귀를 손톱으로 잡아 뜯거나 이빨로 물어 뜯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행동들은 손톱이나 입 주변 사마귀로 옮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조갑기질을 변형시켜 손톱의 기형을 유발할 수도 있어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또한, 아이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무사마귀(전염성 연속종)의 경우 폭스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발생하며 광택이 나는 쌀알 모양의 주머니 형태로 발생하며 주머니 안에는 바이러스가 차 있어 터트릴 경우 전신으로 빠르게 번지게 된다.
무사마귀 치료는 큐렛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사마귀 부위를 제거한 후 소독 치료를 해야 하는데 아이들이 치료를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아 무사마귀가 전신으로 퍼진 이후에 치료를 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다.
이외에도 성인에게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편평사마귀 또한 초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해 보인다. 주로 이마, 입가, 코 주변, 손에 발생하는 편평사마귀의 경우 보통 사마귀와 달리 잡티 또는 좁쌀여드름으로 오해하고 치료를 방치하다 주변으로 많이 퍼진 이후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탄산가스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를 주로 하는 만큼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수 있어 주변으로 번지기 전에 진료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한편, 손발바닥에 발생하는 보통 사마귀의 경우도 티눈으로 오판해 티눈 치료를 하면서 사마귀가 더 커지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사마귀 또는 티눈 같은 것이 손발바닥에 발생했다면 자의적 판단으로 치료하지 말고 전문의 진료 후 처방에 의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사마귀와 티눈은 그 모양이 비슷하지만 티눈은 접촉에 의해 발생하며 중앙에 핵이 있어 누르면 아프고 사마귀와의 치료 방법이 다르고, 잘못하면 더 번질 수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손발바닥 사마귀의 경우 주로 냉동치료를 많이 사용하는데 한 번의 치료로는 완치가 어렵고 여러 차례 시술을 받아야 한다. 시술 시 통증을 동반하지만 꾸준하게 인내를 가지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 "사마귀는 다른 피부 질환과 감별을 해서 치료를 해야 하므로 피부과 전문의 진료 후 처방에 의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사마귀를 방치할 경우 번지기 쉽고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을 하기 쉽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마귀는 초기 치료부터 완치될 때까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홍원장은 "치료 후에는 사마귀가 재발하지 않도록 규칙적이고 건강한 생활습관 식습관으로 면역력을 키우고 외출 후 귀가 후에는 손발을 깨끗하게 씻는 습관이 중요하다”면서, 사마귀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로컬세계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