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성능 조작 및 중국산 짝뚱 부품으로 속여 조립
![]() |
▲부산경찰청 제공.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부산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총경 정현욱)는 배터리 성능을 조작하거나 중국산 짝퉁 부품으로 조립된 중고 스마트폰을 만들어 시중에 1만대 상당을 유통하고, AS보상기간 중에 있는 중고폰을 사들여 전기적 충격을 가해 제조사 자체 결함인 것처럼 무상교체 받아 시중에 재판매하는 수법으로 35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챙긴 일당 28명을 검거하고, 이중 총책 3명을 구속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부산 일대 5개소에 중고 스마트폰 매장을 열고 노후 중고폰을 저가에 매수한 후, 과거 서비스센터 및 사설 수리업체 근무경력이 있는 스마트폰 수리 기술자 및 중국 밀수입책, 무상교환책 등을 고용하여 범행 전반을 기획하고 지시하기도했다.
중국 밀수입책 2명은 중국 현지에서 짝퉁 부품을 구매한 후 관세청에 품명을 허위로 신고해 짝퉁 부품 밀반입을 담당했고, 수리 기술자 13명은 중고 스마트폰의 노후된 부품을 밀반입한 중국산 짝퉁 부품(액정, 뒷면케이스 등)으로 교체하고, 배터리 성능의 최대치를 90% 이상으로 조작하는 등 짝퉁 기기 제작을 담당했다.
이들은 보상 기간이 남아 있는 중고폰의 경우에는 내부 회로에 고의적으로 전기적 충격을 가해 액정 내부에 검은 점이 생기게 만든 뒤 서비스센터로부터 무상교환을 받는 수법으로 총 4155회에 걸쳐 9억2000만원 상당을 편취하기도 했다.
무상교환책 3명은 현직 서비스센터 기사 6명을 매수하여 무상 교환이 되지 않는 기기에 대해 1대당 3∼25만원 상당의 대가를 지불하고 무상으로 교환받아간 사실도 확인했다.
![]() |
▲ |
경찰은 이같은 방법으로 중고폰 제작 및 유통하는 조직이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소비자는 구매전에 스마트폰의 제조연도를 확인하고 제조연도에 비해 외형이나 배터리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확인할 수 있는 ‘수리비용 영수증’ 등을 보유하기를 당부했다.
또, 배터리 성능표시에 비해 빨리 소모되는 등 의심이 되는 경우에는 공식 서비스센터나 사설 수리업체에 방문하여 기기를 분해하여 부품에 일련번호(lot)가 새겨져 있는지를 확인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와 유사한 피해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홍보해 나가고, 중고 스마트폰의 성능 조작 행위, 짝퉁 부품 교체 행위, 그 외 서비스센터의 보상 피해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수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