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그러나 인간이라면 어느 정도 끊고 맺음이 중요한데 아기들을 안 키우다 보니 인간의 외로움을 가장 쉬운 동물에게로 전파되어 우리의 생활 속에서 정을 나누고 있다.
과연 인간이 이런 생활이 행복한가? 묻고 싶다. 유행처럼 번져서 가정에서 애완견이나 고양이를 키우는 것이 유행이 되어 버렸다. 이것이 좋은 것인가? 누구도 옳다고는 말은 못 하지만 우리 사회가 잘못인 줄을 알면서도 문화처럼 변질되어 오히려 집에서 애완견이나 고양이를 키우지 않는 것이 이상한 것처럼 보일 지경이다.
길을 가다 보면 아기들 유모차에다 애완견을 싣고 다니는 사회가 과연 좋은 사회인가? 인간의 존엄성은 어디로 가고 동물들이 중요시 되는 사회로 간다면 우리 사회가 정부도 이제는 거기에 맞는 정책적 대책을 만들려면 사회환경 유지비 세금을 물려서 종부의 애완견 정책을 만들어 사회 문화를 제대로 가꾸어 가야 한다. 무작정 집에서 기르다가 마음에 안들면 길거리애다 버리는 애완견이나 고양이들이 많다. 그렇기때문에 세금은 필수로 물려야 한다.
아무리 정이 들고 사랑해도 동물은 근본이 동물이다. 그 사랑이 오히려 부모 없이 고아원이나 갈 곳 없는 어린이들을 사랑으로 입양하여 기르는 것이 더 좋은데 사회 문화가 쉽게 생각하는 마음가짐으로 우리 인간사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있다.
갈수록 인간은 숫자가 줄어들어 정부는 인구 정책 때문에 걱정 한다. 그런데 젊은이들이 결혼문화도 문제가 많고 애들도 많이 낳지 않아 갈수록 우리 사회가 걱정이 앞서는 사회로 가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이 시대의 변화 속에서 오는 빈부의 격차가 사회 문화를 오염시키고 있다.
젊은이들이 힘든 것은 회피하고 심지어 결혼도 하지 않고 또 결혼을 해도 애를 낳지 않는다면 우리 사회가 미래에는 어떻게 되겠는가? 상상만 해도 무서운 사회로 누구나 함께 더불어 사는 의미는 없고 개인 이기주의가 세상을 뒤엎고 있다.
과거에는 못 배우고 가진 것 없는 사회가 우리 사회를 하루 빨리 이토록 잘사는 문화로 바꾸는데 앞만 보고 달려 왔는데. 이제는 학력도 배울 만큼 배우고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으로 이제는 못 배운 사람은 없는 사회다.
그런데 젊은이들이 너무 고생을 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우리 사회를 너무 자신들의 입장만 강조하는 우리 사회다. 그러다 보니 이해하려는 마음보다는 각자 자신들의 행복이라는 소위 의미만 찾아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자식도 부모도 필요 없는 사회로 가고 있다.이것이 올바른 사회인가? 말도 안 되는 사회다.
물론 세상도 시대가 말하듯이 변화 속에 우리가 나아가야 할 것들이 우리만의 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 가정이나 문화는 우리 사회가 근본적으로 지키고 나가야 할 문화이다. 그런데 우리 사회가 너무 쉽게 편하게만 생각하는 것이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생각하자. 젊은이들이 누구를 막론하고 결혼은 필수로 결혼하면 아기는 기본적으로 세명 정도를 낳는다면 가장 아름답고 미래가 훤히 보이는 우리 사회가 될 것이다. 그 대신 정부는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젊은이들의 결혼 문제의 애로사항과 애를 낳고 기르는데 정부가 앞장 서서 지원을 하는 것이 우리 사회를 보다 더 발전시키며, 아름답고 현명하게 세상을 읽어가는 것이다. 그것이 오로지 미래의 우리나라를 위하는 지름길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