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런 문학이 교육의 방향 정책에서 입시 위주의 시험 정책이 우리 교육을 폭넓게 가지 못하고 인성의 발달도 오로지 시험에만 치우치는 한계에 서 있다. 물론 무엇이든 평가를 하는 것은 학습의 자극제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 교육이 너무 지나치게 입시 위주의 교육은 시대를 읽지 못한 뒤처진 교육이다.
과거의 교육 정책은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학생수를 제한하는 숫자의 역할이였지만 지금은 학생 숫자가 오히려 줄어드는 판국에 교육 정책은 진로가 바뀌어 가야 한다. 시대는 인재를 요구하며 가야할 길도 많다. 그런데 우리 교육은 과거 교육 그대로 가고 있다. 이것이 문제이다.
우리 교육이 인재를 양성하려면 시대에 맞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현실적 교육이 필요하다. 외국어 교육은 필수이며 자신의 전공도 현실적으로 필요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지름길이다. 일자리도 눈을 돌리면 세상에는 너무 많다. 하지만 그 일자리 장벽은 언어이다. 그래서 영어 회화는 필수이며 다른 외국어도 필요한 시대다.
자신의 인생도 성장하며 전공을 찾으려면 학습하는 학생들의 전공에 맞는 교육이 꼭 필요한 세상이다. 실습으로 현장 교육이 이뤄진다면 뭐가 두려운가? 우리 교육의 미래는 밝다. 교육 정책의 방향만 제대로 간다면 인재를 양성해서 세상에 대한민국의 자란스런 인재로 키워놓은 것이 우리 모두가 사는 길이다.
요즘 우리 사회가 모두들 책보다는 컴퓨터나 핸드폰을 들고 사는 세상이다. 그러나 아무리 세상이 변해도 자신의 성장을 위해서는 문학은 필수이다. 자신을 알고 성장하려면 내가 누구인가를 알아야 하듯이 인문헉이 없다면 인생의 발달도 무지의 세상에서 숟가락만 들고 배고프다고 소리치는 격이다.
세상도 변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듯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세상이다. 그렇다면 우리 교육은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남들이 한다고 그냥 누구나 다 되는 것은 아니다. 노력 없이 될 수가 없듯이 무엇이든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걸 위해서는 문학은 인생의 지름길처럼 자신을 성장 시킨다. 문학을 하지 않으면 서로 소통의 대화의 폭도 줄어든다.
갈수록 우리 사회에 대화가 필요한 세상이다. 그런데 대화 없이 서로 무슨 소통이 되겠는가? 아무리 잘난 사람도 나혼자 잘난 것은 없다. 더불어 사는 세상에서 그 사람이 필요한 자리가 기다리듯이 누구나 해야 할 일이 있고, 필요한 자리가 있다. 그 자리는 자신이 서야 할 자리인가? 한번 생각해 보고 살자.
인간은 결국 누구나 인성이 제대로 발달하려면 문학을 공부하지 않으면 삶의 길이 잘못되어 갈 수도 있다. 생각의 깊이가 오판으로 자신의 인생을 버릴 수도 있듯이 사람답게 산다는 것은 사회의 질서를 잘 지키며 더불어 산다는 것이다. 아무리 자신이 잘났다고 혼자 욕심을 부려도 누군가 서로 함께 어울리지 못하면 그것은 실패한 인생이다.
이제 우리 사회가 아무리 첨단 사회로 변해도 사람답게 살려면 책을 읽고 살면서 내자신을 성숙시키자. 이것이 시대에 맞게 내가 행복하게 사는 길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