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 운영 경험 기반으로 이달부터 39개 읍·면·동 전역 대상자 신청 접수
맞춤형 연계 모델 마련…장기요양·생활돌봄·치매검사·재택의료 등 원스톱 지원

[로컬세계 = 김병민 기자] 경기 용인시는 고령 어르신의 복합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통합지원 체계를 가동, 23일부터 시 전역에서 돌봄 통합지원 서비스 대상자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1일 용인시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 재택의료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용인동부·서부지사, 행정복지센터, 처인구보건소, 처인노인복지관, 무한돌봄센터 등이 참석한 ‘2025 제1차 돌봄 통합지원회의’를 열어 대상자별 서비스 제공 방안을 확정했다.
통합지원은 거동이 불편하고 의료지원이 필요한 고령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요양·돌봄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연계해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관별 역할을 묶어 초기 판정부터 현장 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연결한다는 설명이다.
시는 내년 3월 27일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난 9월 양지면·유림1동·신갈동·풍덕천2동을 시범 지역으로 정해 신청을 받아 대상자를 선정했다.
시범 운영 과정에서 관계기관은 통합판정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대상자별 수요를 분석해 개별 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예컨대 유림1동 거주 70세 어르신에게는 장기요양등급 신청과 방문요양 연계, 등급 확정 전 공백 최소화를 위한 경기도 ‘누구나돌봄’ 생활돌봄 서비스 지원, 처인구보건소 치매검사 및 사례관리 등록, 재택의료센터 진료 연계, 행정복지센터의 낙상 예방 안전봉·미끄럼 방지 패드 지원 등을 묶어 제공했다.
시는 이번 시범 경험을 바탕으로 이달부터 39개 읍·면·동 전체로 통합지원을 확대하고, 신청 접수·판정·연계·사후관리로 이어지는 표준 절차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고령화로 의료·요양을 포함한 복합 돌봄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정부·민간과 협력해 개인 맞춤형 통합지원을 강화하고 돌봄 사각지대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