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시인, 수필가) |
과연 정치가 뭐길래 국민들까지 편을 가르며 싸워야 하는가? 묻고 싶다. 모든 것이 세상 변화 속에서 여기까지 선진국으로 상장해 왔는데 왜 유독 정치만이 삼류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가? 제도적으로 문제가 크다. 과감하게 탈바굼을 하려면 국민의 의식부터 다시 깨어나야 한다.
패거리 정치인들과 어울리며 손잡고 맞장구치며 살던 시절은 이제 그만 두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도저히 선진 민주 정치를 꿈꾸기가 어렵다. 우리 국민들의 의식 수준도 많이 높아졌는데 유독 정치판에서는 현명하지 못하고 정치인들의 유혹의 입질에 놀아나는가?
우리나라가 선진 민주정치를 하고 잘 되려면 잘못한 정치인들은 언제라도 법으로 규정하는 정치인 퇴출은 국민들의 권한으로 명시하여 누구도 건드리지 못하게 만들어 놓아야 정치인들이 일꾼처럼 일을 할 것이다. 국회 자리에만 앉으면 권력의 힘으로 국민들의 소리는 안 듣고 무시하며 자신들의 권리만 주장하고 큰소리치는 세상이다. 그러다 보니 여,야가 서로 협치는 없고 싸움질만 일삼는다. 이래도 되는가?
한 나라에 국회의원이라면 가장 먼저 눈치를 보아야 할 것이 국민인데 국민의 소리는 안 듣고 선거때만 국민 앞에 일꾼이라고 주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정치인들의 선동에 국민들만 출신지역과 출신교 또는 서로 계파로 어울리며 정직하고 당당한 모습은 없는 것이 우리 정치인이다.
왜 그럴까 조용히 생각해 보면 여,야 정치의 선거 때 공천이 우선이라 더 그렇고 선출하는 유권자들도 문제다. 1번 아니면 2번만 찍다 보니 우리 정치의 인재 발굴은 없고 쓰레기 같은 딸랑이만 선출한다. 여,야 각 당에서 공천 신청에 공천을 못 받아서 무소속이나 다른 기호로 출마해도 그 지역 인재를 선출해 주는 우리 정치 문화가 필요한 시대다. 그렇게 된다면 공천에 목숨 걸지 않고 지역에 봉사하며 일한다. 그 지역 주민들이 다 알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처럼 각 지방마다 지역마다 봉사단체가 그렇게도 많은데 그 많은 조직에서 봉사활동도 한번도 안 해본 사람을 지역구라고 공천을 하는 모습이 우리 정치의 미래를 몰살시키는 꼴이다. 그러다 보니 진정한 지역에서 오래 살면서 그 지역을 위해서 봉사활동을 오래하다 보면 문제점을 너무 잘 알수가 있다. 그레서 정치를 하여 지역발전을 크게 이루고자 출마한다면 누가 인재인가?
우리 정치 제발 정신 차리고 살자. 당선만 되면 하는 마음보다는 당선되고 나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정치인이 과연 몇이나 있을까? 이제 유권자도 크게 달라져야 한다. 편가르는데 앞장서지 말고 봉사와 지역 발전을 위해서 일하는 정치인을 선출하는데 앞장서자. 이것이 대한민국의 정치를 살리는 길이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