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오찬 당시 “역사 외면하는 처사” 지적에 ‘묵묵부답’
안중근 의사의 순국장소도 잘못 말해 도마 올라
[로컬세계 라안일 기자]제71회 광복절에 건국절 논란이 재점화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연이어 “건국 68주년”을 언급하면서다. 야당과 역사학자들은 정부와 여당 그리고 보수단체의 건국절 주장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한다고 지적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 71주년 경축식에서 8.15 경축사를 통해 “오늘은 제 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말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8.15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출처 청와대. |
건국절은 ‘뉴라이트’ 계열이 이승만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을 ‘건국’ 시점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헌법에서는 3.1운동 직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을 ‘건립’ 시기로 명시하고 있다. 또한 1948년을 건국 시점으로 보면 헌법을 부정하고 삼일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정부의 독립운동사를 폄훼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ㅊ박근혜 대통령이 오늘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애국애족 정신과 광복의지가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말한데 대해 평가했다. 하지만 올해를 건국 68주년이라고 말한 것은 선열들의 이런 노력을 부정하는 매우 유감스런 언급”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1919년 기미독립선언으로 건립됐고 1948년에 정부가 수립된 것이다. 이는 역사적 사실이며 제헌헌법의 전문에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우용 역사학자는 트위터를 통해 “‘헌법’을 수호할 책임을 진 사람은 절대로 ‘헌법정신’을 부정해선 안 된다. 헌법은 대한민국이 1919년 삼일운동으로 건국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1948년에야 ‘건국’되었다고 주장하는 건 삼일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폄훼하는 짓”이라고 꼬집었다.
![]() |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 회장이 12일 청와대 오찬에서 건국절 주장을 전면 비판하고 있다. |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김영관 전 광복군동지회 회장도 광복 71주년 경축식에서 앞서 지난 12일 청와대 오찬에서 건국절 주장에 대해 전면 비판했다.
김 전 회장은 건국절 주장에 대해 “역사를 외면하는 처사”라며 “헌법에 위배되고 실증적 사실과도 부합되지 않고 역사 왜곡이며 역사의 단절을 초래할 뿐”이라고 성토했다.
이어 “왜 우리 스스로가 역사를 왜곡하면서까지 독립투쟁을 과소 평가하고 국란 시 나라를 되찾고자 투쟁한 임시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외면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고 했다. 우리의 쓰라리고 아팠던 지난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 오늘과 내일에 대비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감히 말씀드렸다”고 호소했다.
당시 박 대통령은 김 전 회장의 발언에 묵묵부답했으나 3일 후 건국절을 재차 언급한 것이다.
청와대는 논란이 증폭되자 16일 “광복절 경축사와 관련해서는 대통령이 어제 말한대로 국민의 저력과 자긍심을 발휘하고 긍정의 힘을 되살려 건강한 공동체 문화를 만들자는 의미로 잘 이해해달라”고 밝혔다.
한편 박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안중근 의사의 순국장소를 잘못 말해 도마에 올랐다. 박 대통령은 “안중근 의사께서는 차디찬 하얼빈의 감옥에서 ‘천국에 가서도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라는 유언을 남기셨다”고 전했다. 하지만 안 의사는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뒤 뤼순 감옥에서 생을 마쳤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