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국민 건강식 콩의 발전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경기도 파주에서 콩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과 요리를 맛보고 느낄 수 있는 체험마당이 펼쳐진다. ‘2010 파주장단콩축제’가 26일부터 28일까지 3일간 파주 임진각광장에서 열린다.
예로부터 콩의 주산지로 잘 알려진 파주 장단지역은 마사토질이어서 배수가 잘되고 늦서리가 없는 등 콩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다른 지역보다 콩 수확량이 많고 영양도 높다.
파주시 관계자는 “콩은 원래 유휴지나 비탈진 밭 등을 이용해 재배하는 작물이다. 파주는 인삼으로 유명한 개성과 인접했는데, 장단지역 역시 인삼을 많이 재배해 인삼 휴작지에서 콩을 많이 재배하게 됐다”고 장단콩 재배의 유래를 설명했다.
1913년 현재 농촌진흥청의 전신인 권업모법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콩 장려 품종으로 ‘장단백목’을 지정했다. 이 콩은 장단지역에서 생산되던 토종 콩을 수집해 개량한 것이다. 1969년 우리나라 최초의 작물시험장에서 인공교배로 육성·보급된 장려품종인 ‘광교’ 역시 장단백목의 교배 육성종이다. 우리나라 콩 장려품종의 효시는 장단지역의 토종콩과 깊은 관련이 있는 셈이다.
1970년대 초부터 민통선 북방지역 개발로 통일촌 입주가 시작되면서 장단지역 콩의 명성을 되찾으려는 연구와 재배가 시작됐다. 이후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으로 장단콩이 향토지적재산으로 지정되면서 콩 가공사업과 파주장단콩축제로 장단콩은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특산물로 성장했다.
현재 파주 장단콩의 재배는 16개 단지 700ha 규모의 대단위 단지에서 이뤄진다. 2004년에는 소비자 보호를 위해 콩으로는 최초로 생산이력제를 도입하고 모든 재배농가가 고품질 콩을 생산하도록 전 과정에서 전담 지도사를 배치해 관리한다. 이듬해인 2005년부터는 파주장단콩전시관을 건립해 연중 쉬지 않고 운영중이다.
장단콩은 이 같은 노력으로 2006년 열린 대한민국 혁신박람회에서 행정자치부장관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지난해에는 ISO9001(품질경영시스템인증)까지 획득하는 등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생산·가공·유통체계를 수립했다.
단순 먹을거리 넘어 기능성 부각

장단콩의 가치가 속속 입증되면서 파주시는 장단콩을 비롯한 지역 농특산물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장단콩의 건강식으로서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테마축제로 1997년부터 ‘파주장단콩축제’를 열고 있다. 장단콩축제의 효과는 괄목할만하다. 지난해 축제에서만 90만명이 방문해 콩 9000가마, 38억여원의 판매수익을 거둔 것.
올해 장단콩축제는 ‘웰빙명품! 파주장단콩 세상!’이란 주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단콩의 기능성을 집중 부각시킨다. 파주장단콩축제추진위원회는 다양한 매체에서 홍보했던 장단콩의 철저한 품질관리시스템을 가장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자리로 장단콩축제를 기획했다.
축제장은 장단콩과 파주지역 농특산물의 우수성을 알리는 다채로운 전시공간으로 꾸며진다. 파주장단콩전시관을 비롯해 국내기능성콩전시관, 파주장단콩개발요리 전시관, 친환경농업전시관, 국화분재전시관, 짚풀문화 공예품 전시관 등에서는 파주 농특산물의 역사와 효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장단콩과 관련한 다양한 체험·참여 프로그램도 빼놓을 수 없다. 꼬마메주만들기와 명사메주만들기, 도리깨 콩타작, 솥뚜껑콩볶기, 장단콩뻥뛰기, 어린이 멧돌체험, 전통장담그기체험, 파주장단콩 두부만들기, 전통가마솥 순두부 체험은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콩을 활용한 다양한 전통음식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장단콩을 이용한 각종 음식을 직접 맛볼 수 있는 먹을거리공간도 마련된다. 파주장단콩전문음식점을 비롯한 파주장단콩 개발요리시식판매장, 파주장단콩 두부시식판매장, 장단콩향토음식점, 파주장단콩설기떡나누기, 파주장단콩요리전국경연대회는 축제 관람객들에게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는다.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간직한 파주시의 지역적 특성을 살린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도 펼쳐진다. 화합을 위한 금산농요공연, 경기도무형문화재공연, 국악한마당, 난타, 줄타기, DMZ 불꽃놀이 등은 관람객들이 화합과 소통을 느끼는 대동마당으로 꾸며진다.
뉴스룸 = 이진욱 기자 jinuk@segye.com
11월26~28일 / 파주임진각 /파주장단콩축제추진위원회 031-940-5288, 5281 / kong.paju.go.kr
- 기사입력 2010.11.22 (월) 10:52, 최종수정 2010.11.22 (월) 10:50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