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백산 정상 설경을 찾은 관광객들의 모습. |
경북·봉화 등 자치단체·주민과 협의 필수
강원 태백산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이 추진된다. 환경부가 내년까지 국립공원 2곳을 추가 지정한다는 방침을 정하고 국립공원 지정지구에 대한 예비조사를 벌이기로 한 가운데 강원도는 올해 도립공원지역에 대한 사전조사 및 자료 등의 수집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태백시는 지난해 도립공원사업소에 대한 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및 2011년도 업무보고에서 장호영 소장의 보고를 받고 “태백산도립공원은 국립공원으로 가치가 높다”면서 “다만 공원면적이 적은 관계로 인근 생태계 보전지역 등을 포함한다면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태백시 일부 사회단체들도 “1999년 태백산도립공원에 대한 국립공원화 문제를 공론화하고 추진하기 위해 타당성 검토 등을 논의한 바 있어 가능성이 높다”면서 환경부가 지난해부터 국립공원 추가지정을 논의하고 있는 만큼 실현 가능성이 높아 이번에 재추진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와 관련해 강원도는 환경부의 국립공원 추가지정 예비지구로 화천군과 양구군 등에 걸쳐 있는 300㎢의 비무장지대구역을 신청했는데, 태백산도립공원을 추가로 포함하고 올해 국립공원과 본격적인 협의가 추진될 경우 추가신청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태백산도립공원이 현재 면적인 17.44㎢에서 국립공원 기준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봉화군 지역과 삼척 덕풍계곡 일대, 정선 만항재, 두문동재 일부와 태백시 금대봉 자연생태계보호구역 등 면적의 확대가 불가피하다.
또 도내 자치단체보다는 태백산 반대편 지역에 걸쳐 있는 경상북도 봉화군과의 협의가 필수조건이다.
더욱이 인근 지자체와 협의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립공원 추진 시 사유지역에 포함되는 토지소유 주민들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여 자칫 좌초될 가능성도 높다.
장호영 태백산도립공원사업소장은 “도립공원 지정을 관할하는 강원도와 국립공원 지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아 국립공원 추진은 현재로선 어렵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면서 “우선 태백산도립공원 주변지역인 삼척(덕풍계곡)과 봉화(금강송군락지), 정선(만항재와 두문동재) 등의 자치단체와 주민들과의 공감대가 먼저 이뤄져야 하고 강원도도 올해 태백산도립공원 강원도지역에 대한 사전조사와 측량을 실시한 뒤 판단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장 소장은 특히 “태백산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승격을 위한 강원도와의 업무협의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으며 주민공청회나 각종 계획 등을 검토한 적은 없다”면서 “다만 일부 시의원이 국립공원 승격문제를 거론했고 정치적으로 푼다면 가능성은 높지만 아직까지 구체적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내년까지 자치단체들이 요구하고 있는 곳 중 2곳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으며 강원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국립공원 추진지역은 광주광역시 무등산(30㎢), 경상북도의 금오산(37㎢), 인천시의 덕적국도(40개 부속도서), 경남 창녕의 우포늪과 화왕산(50㎢) 등이다. 현재 일부 자치단체들은 이와 관련한 공청회를 실시하는 등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국립공원 지정은 환경부장관이 관계 부처의 장과 협의, 관할 도지사의 의견을 청취한 후 국토건설종합계획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
로컬태백 = 오형상 기자 eoscar64@segye.com
- 기사입력 2011.02.21 (월) 13:52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