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조수입이 증가된 분야는 한우산업, 말산업, 양계산업, 기타산업 등이며 감소한 분야는 낙농산업, 양돈산업, 양봉산업이다.
조수입이 증가한 요인은 한우의 경우 송아지 산지가격 상승과 도축두수가 증가되어 전년 대비 약 3.5% 증가된 18억원, 말(馬)분야는 제주마 망아지 거래가격 상승 및 경주마 사육두수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4.6% 증가된 43억원이 됐고
양계분야는 산란계 조수입은 감소했으나, 육계 사육두수 증가와 거래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대비 약 35.4% 증가된 145억원이 증액 되었으며,
기타산업으로는 제주경마장 경마가 서울부산경남 경마장 중계 등으로 매출액 증가 및 유네스코 3관왕 및 세계7대 자연경관 등재에 따른 관광객 1천만명 돌파에 따른 관광승마장과 유통사업 부분 등에서 조수입 증가 요인이 있었다.
한편, 조수입 감소 항목은 낙농산업인 경우 젖소 사육두수 감소 및 원유 생산량 감소와 양돈산업은 사육두수는 증가 하였으나 거래(경락)가격 하락으로 조수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 농가수는 5587호로 지난해 대비 약 2.2% 감소했으나 농가당 조수입은 작년대비 약 8.4% 증가된 142백만원이다.
앞으로 도에서는 다자국간 FTA 협상에 대응한『환경·인간·동물복지를 담은 융복합 축산업 육성』을 위해 환경·관광과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친환경축산, 청정과 안전성을 담보로 한 차별화된 지역특화 축산, 고도화·집약화 등 융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축산업을 영위하고자 올해에도 축종별로 총 207개사업에 799억원을 투자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