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김병민 기자]정하영 김포시장이 일산대교 통행료 문제가 반드시 정리 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시장은 8일 ‘마산동 찾아가는 시장실’ 주민 정담회에서 일산대교 통행료 질문이 나오자 “공익처분이 내려진 이상 경기도와 국민연금공단이 협상에 들어갈 것”이라며 “국민연금이 2038년까지 운영권을 가지고 있는데 수익은 이미 낼 만큼 냈다. 반드시 이번에 통행료 문제가 정리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시장은 이어 “일산대교 무료화는 비정상의 정상화다. 한강에 있는 27개 교량 중 유일하게 돈을 내고 건너야 한다”라며 “근처에 대체도로도 없는데 유료 도로로 된 것 자체가 문제다. 공익성이 충분한 만큼 반드시 문제가 바로 잡혀야 한다”고 말했다.
정 시장은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와 관련해서는 “환승 없이 여의도, 용산까지 서울 직결을 추진하게 된 건 엄청난 성과다. 시민 여러분들이 정말 고생하셨다”라며 “서울시가 10년 전부터 부천에서 강남으로 이어지는 서울남부광역급행철도를 계획하고 있는데 정부 입장에서는 모든 것이 강남으로 연결되고 포화가 우려된다며 인정을 안 하고 있다. 우리 입장에서는 강남을 거쳐 하남으로 가려면 이 노선으로 가야하고 다음번 철도망구축계획 때는 정부도 더 이상 거부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정 시장은 이어 “현재 GTX-A 노선 공사가 가장 빠르게 진행 중인데 인천2호선으로 김포와 고양 킨텍스가 연결된다. 굉장히 의미 있는 노선이고 인천2호선 연결 공사가 빠르게 진행되면 두 노선을 이용해 강남까지 아주 빠르게 갈 수 있다”며 “서부권광역급행철도가 노선을 같이 쓸 예정인 GTX-B 사업도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무엇보다 속도가 관건이다. 일 년이든 하루든 사업 추진 일정을 당기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시장은 또 “경기도에서 최초로 김포시가 공동주택관리지원센터를 만들었다. 인원을 더 충원해 2022년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라며 “김포시도 거의 75% 이상이 공동주택이다. 얼마만큼 사람 사는 냄새가 나고 활기찬 도시가 되느냐가 삶의 질이나 행복지수를 좌우한다. 앞으로 센터가 갈등을 조정하고 법률 컨설팅과 관련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산동에는 이달 말 마리미공원에 마산동과 구래동 등 김포한강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마산도서관이 개관한다.
국비 등 140억 원이 투입된 마산도서관은 어린이자료실, 유아자료실, 종합자료실, 다목적실, 문화교실, 북카페 등을 갖춘 ‘여행 특성화’ 도서관이다.
연면적 3,408㎡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이며 향후 인구 증가와 인근 주민들의 공동 이용을 감안해 당초 계획보다 규모를 늘려 지었다.
150억 원을 들여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짓고 있는 마산동행정복지센터도 내년 1월 준공 뒤 주민들의 사랑방으로 이용될 예정이다.
![]() |
이날 마산동 주민들은 방범용 CC(중앙폐쇄회로)TV 추가 설치와 주택가 쓰레기 무단 투기 단속, 폐기물 수거 시설인 크린넷에 영문.중문 안내 병기, 공원 반려동물 분변 처리통 설치 등을 요청하고 은여울공원의 파크골프장 이전 시기 및 공원 리모델링 계획에 대해 문의했다.
정하영 시장은 “반려견 공원을 신도시 인근에 설치하려 했으나 반대가 많아 하성 태산패밀리파크에 조성했다. 도시 근처에 있었으면 쉽게 갈 수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프로그램도 가능했을 텐데 아주 아쉬운 부분”이라면서 “클린넷 영문, 중문 안내문 병기는 바로 처리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출근할 때 쓰레기를 들고 나오시는 점을 고려해 내년부터는 낮에 수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