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생들이 서울특별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를 방문해 정책제안을 전달했다.(서울시 제공) |
[로컬세계 이명호 기자]서울 고등학생들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 인권개선을 위한 개선안을 직접 마련해 국회 등에 제안했다.
서울 고교생 71명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청소년 자원봉사 인권 워크숍을 통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청소년 인권개선 정책 7가지'를 작성해 이를 국회와 교육청에 직접 전달했다고 20일 밝혔다.
‘학폭위, 우리가 한 번 해볼게요!’ 라는 슬로건과 함께 진행된 청소년 자원봉사 인권 워크숍은 전 과정에서 학생들이 중심이 돼 진행됐다.
워크숍은 ▲학폭위를 통해 보는 교내 청소년 인권 강의 ▲모의 학폭위 역할극 및 각 사례별 토론 ▲청소년 인권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 활동으로 구성됐다.
71명의 고등학생들은 학폭위를 중심으로 교내 청소년 인권 정책 개선을 위한 50여 가지의 제안을 도출해내고, 이를 다시 7가지 공동 안건으로 정리했다.
변호사들은 학생들의 제안이 정책에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전문지식, 법률적 자문 등의 조력을 제공했다.
안건에는 ▲학폭위 구성 건은 전문가 구성의 확대와 학교 이해당사자(학생-교사-학부모) 균분 배분 ▲학교장 종결제 요건에 있어 집단적 폭력 요건 추가 건 ▲‘따돌림’의 경우 결코 경미한 사건이 아님에도, 종결대상 사안이 될 여지가 있으므로 “소수의 피해자에 대한 다수의 가해자가 있는 사건이 아닐 것”을 명문으로 규정 ▲온라인을 활용한 보복행위의 금지 건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 사항 구체화를 통한 2차 피해 방지 등이 담겼다.
참여학생 대표 9인, 한국법조인협회 공익인권센터, 서울시자원봉사센터는 국회의사당 국회의원회관 정인화 의원실, 서울특별시교육청 민주시민생활교육과를 방문해 정책을 제안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한 학생은 “다른 곳에서도 인권 관련 봉사를 해봤지만, 우리의 목소리를 직접 전달까지 해본 것은 처음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청소년 이슈와 인권 문제에 관심이 생겼고, 나 역시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느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전정환 한국법조인협회 공익인권센터장 변호사는 “청소년들과 자원봉사로 그들의 인권문제를 이야기해보고자 시작한 프로젝트다. 청소년의,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에 의한 활동이 되어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안승화 서울시자원봉사센터장은 “한 사람의 작은 목소리와 행동이 모여, 큰 영향력을 발휘해내는 모습을 다시 한 번 볼 수 있었다. 청소년들이 이번 봉사활동으로, ‘자원봉사’라는 것이 인권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를 통해 우리 삶과 맞닿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