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구제 및 피해지원 정책에 국비 확보 절실해
[로컬세계 = 전경해 기자] 3일 김용복(고성. 국힘)의원은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제331회 임시회에서 ‘해파리 구제 및 피해지원 정책 관련 제언’을 주제로 5분 자유발언을 했다.
▲ 5분 자유발언 하는 김용복 도의원.(사진=전경해 기자) |
-다음은 발언 전문-
오늘 본 의원은 피서철 해수욕객의 안전과 어업인의 조업을 저해하는 해파리와 관련하여 해파리 구제 및 피해지원 정책에 관한 제언을 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영상에서 보신 바와 같이 조업 어선의 그물에 해파리만 가득해 그물이 찢어지는 등의 이유로 아예 조업을 포기하는 어업인들이 증가하여 어업인들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습니다. 언론에 의하면 우리 강원도에서 7월19~23일까지 5일간 해파리에 쏘이는 사고가 250건 발생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집행부의 예산은 동해안권 각 시군의 해파리 구제예산은 500만원~1,500만 원이 책정되었으며 피해지원 예산은 2,000만 원에 불과합니다. 2023년도에는 해파리 발생 및 피해가 미미하다는 이유로 구제 사업비인 국비를 전액 반납하였습니다.
해마다 늘어나는 해파리 피해를 위해 국비 확보 필요성이 있다고 봅니다. 현재 예산으로 해파리 구제의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고, 각시군별로 지원 신청한 피해어업인들이 시군별로 2,000만 원의 예산을 나누어 받게 되어 있어 어업인들의 피해어망 복구비 등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현재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운영하는 해파리 모니터링 체계를 좀 더 실효성 있게 발전시켜 조기 예보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해파리 모니터링 운영도 결국 지자체와 어업인단체 그리고 해양수산사무소의 자발적 신고에 의존하고 있으나 결국 해파리 출현을 가장 먼저 인지하는 것은 우리 어업인들입니다.
어업인들이 조업 과정에서 해파리를 발견할 경우 손쉽게 신고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한다면 해파리 구제 및 피해지원이 더욱더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국립수산과학원에서 강원도에 노무라입깃 해파리주의단계 특보 발령일이 7월23일 14시입니다. 관광국에서 내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해수욕장 해파리 쏘임 신고 접수 대장을 보시면, 7월 18일 경포대해수욕장에서 1건이 최초 신고 된 후 7월 20일 주문진해변 40건, 고성 거진 해변 20건 등으로 신고 건수가 대폭 증가함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접수 대장을 통해서 집행부에서는 사전에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관광국에서는 해양수산국으로 통보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해파리 식용 및 산림 비료 활용 그리고 난소암 활용 연구 등 해파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산업국 바이오 헬스과 등 유관부서에서는 해파리 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지구온난화에 기인한 고수온 등 여러 가지 어업환경 악화로 인해 동해안 어업권 생산량은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관광 활성화와 어업인 보호를 위해 집행부에서는 체계적인 대책 마련 및 예산확보가 필요합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