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2월부터 공개, 내년 수리 준공식 개최…'역사성 회복' 추진
![]() |
▲미륵사지 석탑 수리 후 동북측면 모습.(익산시 제공) |
한강유역을 잃고 이 땅에서 있던 1,400여년 전 무왕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미륵사지의 3탑 3금당의 가람배치가 세상사 어지러운 마음에 고요한 질서를 전해준다.
미륵사지가 세워진 곳은 백제 30대 무왕이 왕위에 오른 후 왕비(선화공주)와 함께 용화산(미륵산)에 사는 지명법사를 찾아가던 도중 만난 미륵삼존불이 출현한 자리다. 기록에 의하면 왕은 왕비의 청을 받아 지명법사의 신통력으로 이 연못지를 메꾸고 미륵사를 지었다. 이곳은 백제의 왕권을 확립하려는 무왕의 꿈이 펼쳐지는 곳이었다.
평범한 백제 청년 서동이 가짜 노래를 퍼뜨려 신라의 선화공주와 결혼했다는 설화는 유명하다. 훗날 서동은 백제 무왕이 돼 화려하고 웅장한 사찰 미륵사를 세웠다. 하지만 목재로 지어진 건축물은 모두 불에 타거나 무너져 지금은 볼 수 없고 무너진 채 남아있던 석탑만 확인할 수 있다.
![]() |
▲1910년 미륵사지 석탑 동측면 모습. |
동양 최대 규모 석탑으로 손꼽히는 미륵사지 석탑은 1962년 12월 20일 국보 11호로 지정됐다. 특히 이 석탑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탑으로 백제 무왕 대에 창건돼 조선 시대까지 유지됐던 사찰이다. 1966년 최초 발굴조사 이후 1980년부터 1994년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를 통해 전체적인 규모와 가람배치의 특징이 밝혀졌다.
또한 양식상 목탑에서 석탑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충실히 보여주는 한국 석탑의 시원으로 평가 받는 기념비적인 석탑으로 2009년 1월에 석탑 1층에서 사리를 보관하는 그릇인 사리 장엄구, 절이 세워지게 된 이유를 기록한 금판 등 국보급 유물들이 발견됐다.
![]() |
▲1910년 미륵사지 석탑 서측면 모습. |
이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나온 미륵사 창건에 관한 기록이 사실로 확인됐고 이를 통해 백제시대의 사리봉안 방식이나 탑 건립에 따른 의식, 발원자와 발원 동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의의는 매우 크다.
익산 미륵사지는 일제강점기인 1915년 시멘트를 마구잡이로 부어 보수해 흉물스럽게 변했고 문화재위원회는 1999년 해체·보수를 결정했다. 이에 2000년 정밀조사와 가설 덧집 설치를 거쳐 2001년 10월 고유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해체 작업에 돌입했다.
6층 옥개석을 시작으로 해체가 실시돼 2004년 2층까지 해체 및 콘크리트의 제거를 완료했다. 이후 1층 해체에 앞서 내부의 십자형 공간과 석축에 대한 정밀 조사를 실시하고 2005년부터 1층 해체를 시작했다. 석축은 2008년에 해체가 완료됐고 1층 및 기단은 2010년에 해체가 완료됐다.
![]() |
▲일본에 의해 훼손된 수리 전 미륵사지 석탑 남동측면 모습. |
이어 2010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국제학술시포지엄을 개최해 그간의 조사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미륵사 창건의 역사적 배경과 발견 당시 미처 개봉되지 못한 청동합이나 사리기의 명칭 등 현장 조사 이후 새롭게 확인된 내용에 대한 소개와 해석도 제시했다. 특히 미륵사지석탑 보수정비계획과 더불어 백제 최대 사찰인 미륵사의 건축적 위상을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또한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석탑 보수설계, 수습유물 조사·분석, 국제포럼, 보존처리 등을 실시하고 2013년부터 2014년까지는 석탑 보수공사 착수, 기초부 보강판축, 보존처리를,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석탑 조립(기단~6층) 완료, 사리 봉안, 보존처리 등을 실시했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2013년부터 유적정비와 복원 고증에 관한 연구를 매년 진행하고 있으며 '미륵사지 석재유구 훼손도 연구', '배수문제 원인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등을 진행해오며 익산지역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 사업을 통해 백제 왕도의 역사성 회복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다.
지난 2018년 6월 20일 문화재청은 익산 미륵사지 현장에서 지난 20년간의 작업 끝에 최근 수리를 마친 미륵사지 석탑의 모습과 조사연구 성과를 언론에 공개했다. 미륵사지 석탑은 추정 복원을 지양해 지난해 12월 원래 남아있었던 6층까지 수리를 완료했으며 7월 중순까지 현장을 일반에 공개했다.
![]() |
▲수리 전 미륵사지 석탑 동측면 모습. |
7월 말부터는 시행될 가설시설물 철거와 주변 정비를 위해 잠시 현장의 개방을 중지하고 정비를 마치는 12월부터는 미륵사지 석탑의 완전한 모습을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12월까지 석탑 외부에 설치된 가설시설물의 철거와 주변 정비까지 완료하고 내년에 수리 준공식 개최, 수리보고서 발간 등을 마치면 석탑 보수정비 사업은 최종적으로 마무리된다.
앞으로 문화재청·국립문화재연구소는 그동안의 수리 과정과 결과를 담은 보고서 발간, 기술교육, 학술행사 등을 통해 성과를 지속적으로 공유할 계획이다.
미륵사지 석탑의 복원 과정은 많은 학문적, 기술적, 과학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 많은 성과들 중 가장 의미 있는 성과는 복원 과정을 우리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더불어 미륵사지 석탑이 단순히 여행지이기 이전에 역사적인 장소였음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