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지방해양수산청 전경.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부산지방해양수산청과 부산항만공사는 2023년도 친환경 하역장비 도입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부산항 야드트랙터(Y/T) LNG 연료 전환사업과 트랜스퍼크래인(T/C) 배출가스저감장치(DPF) 부착사업을 진행하며, 사업자로 부산항터미널(주)를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부산항 Y/T LNG 연료 전환사업’은 기존 노후 경유 Y/T 엔진을 LNG 연료 엔진으로 교체하거나, LNG Y/T 신차로 대체하는 사업으로, 이를 통해 초미세먼지 배출을 100% 저감할 수 있다.
‘부산항 T/C DPF 부착사업’은 경유 T/C에 배출가스저감장치를 부착하는 사업으로, 이를 통해 초미세먼지 배출을 8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는 2022년까지 부산항에서 운영 중인 Y/T의 약 84%(총 697대 중 582대), T/C의 약 96%(총 400대 중 385대)를 LNG 연료 전환과 DPF 부착을 통해 친환경화하였다.
올해는 추가로 36대의 경유 Y/T를 LNG Y/T로 교체하고 6대의 T/C에 배출가스저감장치(DPF)를 부착할 예정으로, 사업추진을 위한 민간사업자 사업계획서 평가 결과, 부산항터미널(주) 1개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부산항터미널(주)는 부산항만공사와의 협상을 통해 사업시행자로 선정되어 보조금 지급·사후관리·안전에 관련된 실시협약을 체결하게 되며, 이후 곧바로 사업에 착수하여 연말까지 친환경 하역장비 도입을 완료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는 대당 51백만원의 Y/T LNG 연료 전환 비용 중 50%와 대당 92백만원의 T/C 배출가스저감장치(DPF) 부착비용 중 90%를 지원해, 민간사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친환경 하역장비 전환을 지속 유도할 계획이다.
윤종호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은 “금번 친환경 하역장비 도입지원사업은 항만 대기질 개선을 위해 민·관·공이 함께 나선 것으로, 앞으로도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부산항이 청정항만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준석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부산항의 주요 하역장비인 야드트랙터와 트랜스퍼크래인을 2025년까지 100% 친환경 전환하여 항만근로자와 시민에게 깨끗한 대기질을 제공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