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출처=픽사베이) |
서울시는 지난 1~10월 조기폐차 2만1986대, 매연저감장치(DPF) 7372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동시저감장치(PM-NOx) 77대, 건설기계 522대 등 총 2만9957대에 저공해 조치를 완료했다고 20일 밝혔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PM2.5)는 57.64톤이 저감되고 질소산화물(NOx)도 702.45톤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시는 2015년부터 지난 10월까지 노후 운행차 총 8만7566대에 저공해 조치를 완료했다. 이에 서울지역 미세먼지 배출량은 2011년 1553톤에서 2015년 1314톤으로 4년간 239톤 줄었다.
특히 2005년도와 지난해를 비교했을 때 미세먼지는 58㎍/㎥에서 44㎍/㎥로, 질소산화물(No2기준)은 34ppb에서 30ppb로 개선됐다.
정부는 경유차 감축을 위해 최대 440만~700만원을 대형 화물차 폐차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클린디젤 정책 폐기'를 선언하는 등 노후유차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도 이러한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지난 7일 ‘서울형 공해차량 운행제한’에 따라 ‘05년 12월 31일이전 경유 자동차에 대한 운행제한을 처음 시행했다. 이에 따라 운행제한을 위반한 차량 1189대에 대해 과태료 10만뭔을 부과할 계획이다.
또 대기환경개선 효과가 높은 조기폐차 위주로 저공해사업을 전면 개편할 방침이다.
2002년 6월 이전 차량에 대해 조기폐차를 실시하고 2002년 7월 이후 차량 중 영업용 화물차와 생계형 차량 등을 대상으로 장거리 운행, 차량의 내구성을 감안해 노후화가 많이 되지 않은 차량에 한해 예외적으로 저감장치 부착을 추진한다.
2005년 이전에 등록된 노후 경유차 소유자에는 조기폐차나 DPF 저감장치 부착 등 저공해 조치를 하면 보조금도 지원해 준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로 문의하면 된다.
이해우 시 대기기획관은 “노후 경유차의 획기적 감축을 위해 폐차지원금을 높이고 공해차량 운행제한 지역을 수도권으로 확대하는 등 지속적이고 강력한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