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숭어들망어업 보전과 계승 기대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남해 죽방렴어업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추진
![]() |
▲거제지역 전통어법인 숭어들망어업장면.경남도 제공 |
[로컬세계 창원=정판주 기자] 경남도는 거제지역의 전통어법인 ‘숭어들망어업’이 경남도 4번째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에 도전한다고 20일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제도는 고유의 유‧무형 어업자원을 보전‧유지 및 전승하기 위해 2015년부터 시행됐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지정서가 발급돼 어업유산의 복원과 계승, 홍보와 마케팅 등에 필요한 예산 7억원을 3년에 걸쳐 지원받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11개중, 경남도내에는 남해 죽방렴어업(제3호, 2015년),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제7호, 2018년), 통영‧거제 견내량 돌미역 틀잇대 채취어업(제8호, 2020년) 등 3개가 지정됐다.
![]() |
▲그물에 잡힌 숭어. 경남도 제공 |
올해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에 도전하는 숭어들망어업은 주로 봄철(3~5월) 숭어를 잡는 데 쓰는 어로법으로, ‘숭어들이’라고 한다. 6척의 배가 동원되어 일명 ‘육소장망’ 또는 ‘육수장망’이라고 불린다. 도장포, 망치, 학동, 선창, 다포, 다대 등 거제지역 6개 어촌마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망쟁이라고 하는 사람이 높은 곳에서 숭어떼의 길목을 관찰하고 있다가 고정된 그물에 숭어떼가 들어오는 순간 신호를 보내면 미리 준비된 그물을 들어 올려 숭어떼를 가두어 잡는 전통어업방식이다.
과거에는 무동력선 6척이 조업을 하였으나, 종사자의 노령화와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전통적 어업방법에 현대적 기술을 접목해 고정식 뗏목과 동력을 활용한 숭어들망어업의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있다.
2022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은 1차 서류평가와 현장 및 최종평가를 통해 8월 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한편, 경남도는 국가중요어업유산인 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과 남해 죽방렴어업을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추진한다. 세계적인 공신력 확보 및 전통어업 문화의 보전을 통한 지속가능한 어업자원으로 관리될 전망이다.
김제홍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남도는 2015년부터 남해 죽방렴어업 등 3개의 국가중요어업유산을 지정‧관리하고 있다. 이에 거제 숭어들망어업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도내 다양한 어업유산들에 대한 어업인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많은 전통어법들이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협조를 바란다”라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