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홍사준 수원시 기획조정실장(앞줄 가운데)를 비롯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가 협의를 마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수원시 제공) |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경기 수원시 전체 파견·용역근로자 825명 중 50.2%가 내년부터 정규직으로 일할 수 있게 된다.
수원시는 지난 2일 시청 재난상황실에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열고 시 파견·용역근로자 414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협의했다고 3일 밝혔다.
그 외의 인원은 사회취약계층 일자리 보전, 업무특성(전문성)에 따라 전환대상에서 제외됐다.
전환대상자 중 60세 미만 근로자는 정규직으로 정년이 지난 60세 이상 근로자는 촉탁 계약에 의한 기간제 근로자로 전환할 예정이다.
시는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하면서 임금 상승에 따른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금체계는 ‘직무급제’로, 정년은 현 정규직과 같은 60세로 정했다.
전환대상자 중 시설물 청소·경비직종 등 ‘고령자친화사업’ 근로자는 60세 이상인 경우 최대 65세까지, 65세 이상자는 전환 완료 후 연령에 따라 1년~2년간 촉탁 계약 근로 형태로 고용을 보장한다.
이번 정규직 전환 대상자들은 별도 채용절차를 거쳐 내년 1월경 최종 채용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의로 근로자들의 고용안정, 근로 조건 개선이라는 알찬 결실을 얻었다”며 “향후 수원시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자부심을 느끼고 시민에게 봉사할 수 있도록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올해 1월 정규직전환 태스크포스팀 신설, 3월 파견용역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 수립, 7월 사측 대표단, 근로자대표단, 이해관계 근로자, 외부 전문가 등 19명으로 구성된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 첫 회의 실시 등 단계적으로 협의를 준비해왔다.
협의회는 5차례 정기회의, 10여 차례 근로자 대표와 실무회의를 가져 파견·용역근로자의 정규직 전환방법, 전환 시기, 채용방식, 임금체계 등을 결정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