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구는 국립서울현충원 안장
![]() |
▲ 사진출처=새누리당 홈페이지 |
[로컬세계 이서은 기자] 故 김영삼 전 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이 오늘(26일) 오후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엄수됐다.
고인의 운구행렬 입장을 시작으로 오후 2시부터 진행된 영결식은 국민의례와 묵념, 고인에 대한 약력 보고, 장례위원장인 황교안 국무총리의 조사와 김수한 전 국회의장의 추도사, 종교의식 등의 순으로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거행됐다.
이날 영결식에는 김 전 대통령의 부인 손명순 여사와 차남 현철씨 등 유족과 친지를 비롯해 이명박 전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 장례위원회 위원, 국가주요인사 및 각계대표, 해외조문사절단 등 1만여 명이 참석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영결식에 앞서 고인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을 다시 찾아 김 전 대통령의 운구를 실은 영구차를 배웅했으나, 건강상의 문제로 국회 영결식에는 참석하지 못했다.
황 총리는 이날 조사를 통해 “김영삼 전 대통령은 평생 우리나라 민주화를 위해 헌신했다. 우리는 오늘 우리나라 민주화의 큰 산이셨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 영원히 이별하는 자리에 있다”며, “이제 생전의 무거운 짐을 모두 내려놓고 영원한 안식을 누리시길 빈다”고 애도했다.
이어 “대통령이 염원하셨던 평화롭고 자유롭고 번영하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오늘의 우리들이 해야 할 몫”이라며, “언제까지나 우리나라를 지켜주시고 국민이 나아갈 길을 밝혀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수한 전 국회의장은 추도사를 통해 “김영삼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민권을 위해 모든 것을 남김없이 바치신 희생과 헌신의 삶을 사셨다”며, “대의 앞에 단호한 대통령이었지만, 이웃들에게는, 동지들에게는 한없이 따뜻하고 자상한 분이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염원하셨던 상생과 통합, 화해와 통일의 그날을 반드시 실현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영결식은 기독교와 불교, 천주교, 원불교 순으로 4대 종교 의식이 진행됐으며, 영상상영과 헌화·분향, 추모공연, 3군 통합조총대의 조총발사와 조약 연주를 끝으로 마무리됐다.
영결식이 종료된 이후 김 전 대통령의 운구를 실은 영구차는 동작구 상도동의 김 전 대통령의 사저와 기념도서관 등을 경유해 안장지인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