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도민총회 출범식서 직접민주주의 강조… “집단지성이 기후 해법”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경기 시흥시 시흥에코센터에서 30일, 국내 최초의 법제화된 기후정책 숙의공론 기구인 ‘경기도 기후도민총회’가 공식 출범했다.
기후도민총회는 지난 1월 시행된 ‘경기도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조례’에 따라 구성된 기구로, 직접민주주의 방식을 통해 시민 참여형 기후정책을 실현하는 첫 사례다.
경기도는 이날 출범식에서 도민 120명을 기후도민총회 위원으로 위촉했다. 위원들은 선호도에 따라 △에너지전환 △기후격차 △소비와 자원순환 △기후경제 △도시생태계 △미래세대 등 6개 워킹그룹에 참여해 정책 제안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날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정치를 시작하며 품었던 꿈 중 하나가 오늘 이루어졌다. 시민의회를 꼭 해보고 싶었다”며, “오늘은 제 꿈이 실현된 날”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동안 경기도는 기후위기 대응에 선제적이었지만, 대부분은 탑다운 방식이었다”며 “이제는 시민이 주체가 되어 공론과 숙의를 이끄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기후도민총회는 대한민국 최초로 기후정책을 시민이 만드는 장이 된 만큼, 도청 집행부도 이 논의들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기후대응을 넘어 앞으로 경기도정 전반을 시민의회가 함께 만들어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강금실 경기도 기후대사는 “경기도의 기후도민총회는 시민사회의 본질적인 출발이며, 전국으로 확산되면 대한민국도 세계적 기후정책 모범국가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강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기후정책은 퇴행했다. 그동안 버텨온 김동연 지사의 노고에 감사드리며, 새로운 정부에서는 그 정책들이 날개를 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행사 마무리에서 경제학자 제레미 리프킨이 언급한 집단지성 사례를 소개하며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기후위기의 해법을 혼자서 내놓을 수 없다. 집단지성에서 해답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후위기 대응의 성공은 시민과 국민의 생각과 행동이 바뀌는 데서 출발하며, 여러분이야말로 조용한 영웅”이라고 말했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