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서울 중구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신뢰의 한걸음, 새로운 도약 -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사평가 제도개선 경과 발표회'에서 한콘진 김영준 원장이 발표하고 있다.(한콘진 제공) |
한콘진은 26일 서울 중구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신뢰의 한걸음, 새로운 도약 –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사평가 제도개선 경과 발표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계의 한콘진 심사평가제도에 대한 비판을 수렴해 지난 3월 개최한 ‘심사평가 제도개선 토론회’를 시작으로 기존 제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내·외부 의견수렴 등 10개월 동안 강도 높게 추진된 제도개선 경과 및 개선방안을 종합 발표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날 한콘진 김영준 원장이 직접 발표한 제도 개선방안은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이뤄졌다.
우선 국민이 인정하고 산업계가 납득하는 ‘공정한 심사’를 위해 심사평가위원회 검증위원회가 설치된다. 검증위원회는 기존의 전문가 풀(Pool)을 포함해 평가위원 후보의 전문성을 상시 점검하고자 외부 전문가 9인 및 내부 임직원 2인으로 구성됐다. 구성된 임원은 현행 업력 5년 이상에서 관리자급 10년 이상의 자로 평가위원 요건을 상향 조정했다.
또 평가위원 추출 및 섭외 과정을 영상 녹화하고, 선정평가 후 평가위원 실명 및 상세 총평을 공개하도록 했다. 특히 유관기관, 시민단체, 변호사 등 평가와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로 구성된 공정평가 담당관이 평가장에 입회해 심사평가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옴부즈만’ 제도를 도입해 공정성을 더욱 높였다.
두번째로 국민이 누릴 수 있고 산업 양극화를 해소하는 ‘투명한 지원’을 한다.
이를 위해 ▲수요자 중심의 산업 정책 ▲사업별 유기적 연계 강화 ▲가치사슬에 맞춘 사업 패키지화 ▲행사성 사업 대폭 축소 등 사업 재편에 나설 계획이다.
더불어 영세 기업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이행보증증권 제출의무를 폐지하고 단년도 회계주의 준수를 통해 회계법 준수 및 이중정산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정산절차 미준수 기업의 사업 참여제한 ▲지원대상 기업의 신용조회 ▲동시수행과제 2개 이하로 제한 ▲성폭력 전과자의 보조사업 참여제한을 통해 국고보조금을 보다 엄격히 집행하고 합리적 지원과제 선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지역 우대 및 일자리 창출 가점을 도입해 지역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2019 사업부터 전면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오는 1월 8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는 ‘2019년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 설명회’를 열어 이날 발표한 개선방안을 비롯해 2019 주요 사업 추진내용을 공개한다.
김영준 한콘진 원장은 “국민의 회초리를 달게 맞고, 불합리한 관행과 불신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했다”며 “이번 개선방안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더 신뢰받는 기관이 되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