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재료 한국서 공수해 한국건축가가 손수 만들어
![]() |
▲아타미시의회 시의원 다카하시 유키오 씨가 한국정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집을 가르키면서 설명하고 있다. 사진 이승민 |
800여그루의 매화나무가 있는 아타미바이엔 (熱海梅園)은 제일 먼저 매화가 피는 공원으로 일본에서도 유명하다. 꽃이 필 무렵이면 매화축제가 열린다. 온통 산을 물들인 꽃과 향춘객들로 어울려 장관을 이루는 곳으로 관광객만 80만명이 넘는다.
![]() |
▲한국정원 담벼락에 새겨놓은 아타미바이엔한국정원 현판. 사진 이승민 |
2000년 9월 23일 고 김대중 대통령과 일본 모리요시 총리는 정상회담을 가진 뒤 다음날 24일 아타미 매화공원을 방문, 원내를 산책하며 환담을 나눴다.
아타미시는 역사적인 이 회담을 기념하고 한일간의 우호와 세계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양식과 기법을 도입한 정원을 조성했다. 한국건축관계자의 손으로 직접 만들어졌으며 사용된 대문, 기와, 담, 목재 등의 모든 재료들도 한국에서 가져왔다.
![]() |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모리 전 총리가 친필로 서명한 우호평화기념비. 사진 이승민 |
아타미시의회 다카하시 유키오 의원은 “아타미시의 예산으로 만든 이 한국정원은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친선의 표시이다. 한국인도 이러한 일본인의 마음을 알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타미시청의 노나카 공원녹지실장은 “한일우호의 상징인 한국정원의 건물, 정원나무, 호수 등 모든 시설물은 아타미시청에서 특별하게 보존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조선식 집 처마에 라종일 전 주일한국대사의 글귀 ‘인연의 집’이 걸려 있다. 사진 이승민. |
한국에서 온 관광객 김수진 씨는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이한 올해 일본에서 한국정원의 사연을 듣고 보니 감동스럽다. 다시 양국의 정상들이 만나 새로운 인연으로 거듭났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