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일본인납치문제특별조사위원회. © 로컬세계 |
[로컬세계 이승민 기자] 일본인 납치문제로 평양을 방문했던 일본정부조사단 일행이 아무 것도 얻은 것 없이 빈손으로 귀국해 빈축거리는 이야기로 화제가 되고 있다.
일본인납치피해문제조사단 일행이 평양에서 북한측 대표 서대하 국방위원회 안전 담당 참사 겸 국가안전보위부 부부장과 회담을 마치고 지난달 30일 귀국했다.
이들은 28일~29일 이틀 간에 걸쳐 장장 10시간 30분 동안 회담을 가졌지만 북한측이 약조했던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이행한 것이 없는 가운데 말잔치만 하고 돌아왔다.
양국은 지난 2008년 8월 실무자 협의를 통해 북한에 위원회를 설치하고 일본인에 대한 재조사 작업에 착수하기로 합의했고 일본은 북일간 인적왕래규제, 송금 및 휴대금액 제한규제, 북한 국적 선박의 일본입항금지 등을 해제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일본은 올해 7월초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개시에 맞춰 인적 왕래와 대북 송금규제를 해제하고 인도주의 목적의 북한선박 입항을 허용했다.
하지만 북한 측은 “과거 조사 결과에 구애 받지 않고 새로운 각도에서 철저히 조사를 진행해 나가겠다”는 말 외에 내놓은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북한이 일본과 약조한 내용을 보면 ‘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납치 피해자 및 행방불명자, 1945년 전후 사망한 일본인 유골 및 묘지, 잔류 일본인, 일본인 배우자 등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 일본인 유골처리와 생존자가 발견되면 즉시 귀국’ 등이다.구체적으로 보면 북한에 의해 납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행방불명자 약 470명에 대한 것도 조사대상이 된다.
1959년부터 1984년까지의 북한의 귀환사업에 일본인 배우자와 함께 방북한 재일조선인 1800여명도 조사대상에 포함된다.
또 일본이 패전하고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돌아가지 못한 사람 1400여명과 약 2만구의 일본인 유골도 전면적 조사대상이 된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최근 여성 각료 2명이 잇따라 사퇴하면서 각료들의 돈과 정치문제로 지지율이 추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일본인 납치문제까지 성과 없는 속빈회담 결과가 되어 아베정권은 지금 집권위기를 맞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