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대호 의원. |
이날 질의에서 황대호 의원은 “영어 특성화 과정 직무 연수 현황을 보면 영어회화 전문강사에 대한 연수 예산은 고작 269만원(대상 초등 62명, 중등 8명)인 것에 비해 원어민 보조교사의 예산은 1009만원(대상 초등 44명, 중등 29명)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고,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630명이나 계시지만 제대로 된 교육기회를 1년에 한 번 갖기도 힘든 것은 심각한 차별”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황 의원은 이어 “10년 전 이명박 정부가 ‘영어 공교육 실천방안’을 추진하면서 초등학교 영어 수업 시간 증가와 중고등 수준별 이동수업 확대에 따른 영어교사 부족으로 도입된 것이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였다”며 “당시 경기도교육청 영어회화 전문강사 채용공고를 보면 정년을 ‘교육공무원법’ 제47조에 준용한다고 명시했다. 교육공무원법 제47조에 따른 교육공무원 정년은 62세까지이지만, 현재 영어회화 전문강사들은 1년마다 재계약, 4년마다 신규채용이라는 어느 직종에도 없는 선발 과정을 치르며 강단에 서야 하는 처지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황 의원은 “도교육청이 스스로의 약속도 지키지 못하고, 외면하며 교육의 기회마저 뺐는 것은 심각한 차별이다“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황 의원은 또한 “문재인 정부는 고용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약 실행으로 공공부문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교육청도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학교 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하고 “하지만 유독 영어회화 전문강사에 대해선 교사 임용제도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며 전환 대상에서 예외를 두는 것은 지나친 확대해석이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영어회화 전문강사 문제는 경기도교육청 만의 문제가 아닌 교육부가 주도적으로 해법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도교육청에서는 이러한 채용과 고용의 불안정 속에서도 묵묵히 최선을 다하는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최소한 교육자로서의 연수라도 공평하게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역량을 발전시킬 수 있는 연수 프로그램을 마련해 줄 것”을 주문했다.
답변에서 강희붕 경기도언어교육연수원장은 “연수를 희망하는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많은 참여를 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하겠다”며 약속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