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올해 플레이엑스포 기간동안 열린 e스포츠대회 모습.(경기도 제공) |
도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 e-스포츠 육성계획’을 수립하고, 2019년부터 4년간 총 134억원을 투입한다고 21일 밝혔다.
‘경기 e-스포츠 육성계획’ 수립은 ▲e-스포츠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100억원) ▲e-스포츠 문화향유 및 저변확대(20억8000만원) ▲선수 및 연관 산업 종사자 인재육성시스템 구축(13억2000만원) 등 3개 분야로 이뤄졌다.
먼저 도는 경기관람과 선수 양성을 위해 전용경기장 운영이 필수적이라 판단하고 인프라 구축을 위해 500석 규모의 경기 e-스포츠 전용경기장 1개소를 2022년 상반기까지 조성한다.
조성 부지는 내년 초 시군 공모를 통해 선정, 총 사업비의 50%, 최대 1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e-스포츠 전용경기장은 모두 4곳으로 서울에만 있다.
도는 전용경기장이 조성되면 각종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대회가 열리지 않는 동안에는 복합 문화콘텐츠 시설로 활용할 예정이다.
도는 e-스포츠 전용경기장 조성과 함께 2020년 이후 ‘경기 e-스포츠 트레이닝센터도 건립해 e-스포츠 산업지원과 연구, 선수 육성을 담당하도록 할 계획이다.
다음은 e-스포츠 산업 저변확대를 위해 내년부터 ‘경기도지사배 아마추어 e-스포츠대회’를 신설, 운영한 뒤 2020년부터 이를 국제대회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온가족이 함께하는 게임문화 조성을 위해 가족 참여 체험형 e-스포츠 페스티벌을 연2회 게임행사와 연계해 개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e-스포츠 전‧현직 선수와 연관 산업 종사자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아마추어 선수단과 협약을 맺고 2022년까지 4년 동안 연간 1억5000만원씩 모두 6억원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프로게이머들의 짧은 선수생명과 경력단절 등을 고려해 은퇴 후 재취업 아카데미도 운영한다.
도의 이같은 발표는 지난해 8000여억원이었던 전 세계 e-스포츠산업 규모가 2020년 1조2000여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올해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시범종목으로 선정되는 등 e-스포츠 산업의 가파른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성호 경기도 콘텐츠산업과장은 “게임 규제와 미국과 중국의 적극적인 투자공세로 국내 게임산업과 e-스포츠 산업이 정체기에 놓여있는 상황”이라며 “e-스포츠 종주국 대한민국, 게임산업의 1번지 경기도 명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부터 저변확대까지 산업의 모든 분야를 계속해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