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대구시는 지난 9월 26일 저녁 정부 대전청사 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일부 정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했다고 29일 밝혔다.
시는 화재 발생 직후인 27일 오전 1시 10분부터 상황대책반을 구성해 대응에 나섰으며, 28일 오전 10시 30분에는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공식 가동했다.
같은 날 오후 4시에는 관계 부서와 산하 구·군이 참여한 대책 회의를 열고, 민원처리 지연 등 시민 불편 해소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대구시는 각 구·군 및 산하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민원 대체 접수 사이트 ▲오프라인 민원 처리 방법 등을 안내했으며, 방문 및 서신 접수를 통해 민원이 원활히 처리될 수 있도록 수기 접수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접수된 민원은 접수일을 기준으로 처리기한을 계산하고, 이후 시스템에 입력될 경우에도 소급 적용할 방침이다. 즉시처리 민원은 가능한 한 현장에서 처리하며, 처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민원처리부에 등록해 순차 처리할 계획이다.
세금 납부나 서류 제출 등의 기한이 화재 이전에 도래한 경우에도 시스템 복구 이후까지 기한을 연장해 시민 불이익을 방지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시민들에게 "대면 민원이 필요한 경우 사전에 해당 기관에 전화 문의를 해달라"며, "대체 사이트 활용과 함께 시청 홈페이지 및 SNS 공지사항을 수시로 확인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시는 유사 상황의 재발 방지를 위해 자체 시스템에 대한 긴급 점검도 실시 중이다. 주요 시스템의 이중화 구축 상태와 백업 시스템을 정밀 점검해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김정기 권한대행은 “이번 화재로 불편을 겪는 시민이 없도록 기한 연장, 소급 처리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불편하더라도 TV, 시청 공지사항, 콜센터 등을 통해 최신 상황을 확인해 달라”고 말했다.
로컬세계 / 박세환 기자 psh784@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