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세계 부산=맹화찬 기자]부산시는 ‘세계와 함께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구축을 위한 '영어하기 편한 도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시민 공감대 형성 ▲영어 학습환경 조성 ▲외국인 정주환경 개선 ▲공공부문 영어역량 강화 등 4개 분야, 16개 사업으로 모두 7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서는 찾아가는 설명회 등을 통한 시민 의견수렴, 시민 자문단 및 시민 영어소통관 운영, 공문서 내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 지양 등 한글을 아끼고, 지키기 위한 사업도 병행해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 자문단 및 ‘시민 영어소통관’ 운영 내외국민 시민 총 40명을 선발하여 영어하기 편한 도시 관련 생활 속 불편사항, 표지판 등 표기 오류, 정책 제언 등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자문단을 운영한다.
또 자원봉사 및 재능기부를 원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시민 영어소통관’을 선발해 영어학습 동아리 지원 방안도 모색한다.또한 공문서에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을 지양하고 국어책임관도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시민 영어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방과 후 학교 강화를 통한 사교육비 절감, 들락날락 등 공공시설을 활용한 영어교육 확대, 기업에 찾아가는 영어강좌 제공, 국내외 전문교육기관 유치, 영어119 무료상담소 운영, 내·외국인 교류행사 확대 등 7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
‘외국인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영어 사용환경 실태조사를 통한 공공시설 영어표기 점검, 외국인 불편상담 서비스 확대, 맞춤형 영어표현 제작· 보급, 외국 유학생 대상 인턴십 확대 및 취업설명회 개최 등을 통해 외국 유학생이 부산에서 취업 및 정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갈 계획이다.
‘공공부문 영어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공무원들의 업무상 영어 활용 현황 및 영어교육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육 지원 방안을 수립하며, 공공기관 내 영어 전담인력을 배치해 통역 및 각종 행정서비스 제공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사업을 더욱 구체화하기 위해 전문가 및 관계기관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운영하고, 시 유관부서, 구·군, 교육청, 대학 등 여러 기관과 지속해서 협업해 가며, 내년 상반기에는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