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50만명은 어디로”…청송사과축제 경제효과 발표에 ‘수치 누락·과장’ 논란 확산

이창재 기자

sw4831@naver.com | 2025-11-24 00:14:05

50만 명이면 1인당 6천 원 축제에서 소비액…전국적 지역 축제 평균보다 훨씬 낮아
“성과 부풀리기 의도” 비판 제기
주민들 “수치 오락가락…행정 신뢰 바닥”
지난 10월29일부터 11월2일까지 5일간 열린 '제19회 청송사과 축제장' 항공사진. 청송군 제공

[로컬세계 = 이창재 기자] 경북 청송군이 지난 18일 배포한 ‘제19회 청송사과축제 경제효과’ 자료를 두고 수치 누락과 과장 의혹이 지역사회에서 계속 확산되고 있다.

특히 군이 불과 며칠 전 “축제 방문객 50만 명”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만큼, 이번 경제효과 자료에서 해당 수치가 완전히 빠져 주민들의 의문이 더욱 커지고 있다.

■ 며칠 전에는 “방문객 50만 명” 강조…새 자료에서는 ‘전면 삭제’

청송군은 축제 종료 직후 “5일간 50만 명이 축제장을 찾았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나 18일 공개된 경제효과 자료에서는 방문객 수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고, 경제효과 300억 원, 온라인 방문자 320만 명 등 일부 수치만 강조됐다.

이에 대해 지역사회에서는 “50만 명이라고 홍보하더니 며칠 만에 숫자를 지운 이유는 무엇이냐”, “군이 유리한 숫자만 골라 발표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10월29일부터 11월2일까지 5일간 열린 '제19회 청송사과 축제장' 을 찾은 방문객들 모습. 로컬세계 사진

■ 방문객 50만 명 기준이면 ‘1인당 6천 원 소비’…숫자끼리도 충돌

경제효과 300억 원 발표도 과장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만약 방문객 50만 명 기준으로 보면, 1인당 지역 소비액은 약 6천 원 수준으로 떨어져 전국 지역 축제 평균보다 훨씬 낮다.

이 때문에 “경제효과를 높게 발표하려면 방문객 수를 줄여야 하고, 방문객 홍보를 하려면 경제효과가 낮아진다. 그래서 아예 방문객을 빼버린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경제효과 산정 방식조차 비공개…“300억·600억 어떻게 나왔나”

가장 큰 문제는 경제효과 산정 근거가 전혀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축제 기간 사과 판매액은 약 18억 원 수준이며, 지역 식당·숙박·교통 등 소비를 모두 합쳐도 300억 원의 직접효과는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더구나 군이 제시한 간접효과 600억 원은 전국 단위 국제행사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어서, 지역 축제와는 괴리감이 크다는 비판도 나온다.

경제통계 전문가들은 “경제효과는 지출 항목별 소비 추정, 산업연관표 적용 여부, 배수효과 산정 방식 등이 공개돼야 신뢰할 수 있다”며 “산식 없이 ‘숫자만 발표’하는 방식은 투명성 부족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청송군은 경제효과 산출 근거와 계산 방식 공개 요청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 10월29일부터 11월2일까지 5일간 열린 '제19회 청송사과 축제장' 을 찾은 방문객들이 사과를 시식하고 있다. 청송군 제공

■ 온라인 방문자 320만 명만 강조…“성과 부풀리기 아니냐”

이번 발표에서 온라인 방문자 320만 명이 강조된 점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320만 명은 실제 방문이 아닌 포털 조회·노출 수치 중심”이라며 “이를 방문객처럼 설명하면 오해가 생긴다”고 지적한다.

일부 주민들은 “오프라인 방문객은 빼고 온라인 숫자만 강조한 건 성과를 더 크게 보이려는 것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 주민들 “수치 오락가락…행정 신뢰 바닥”

지역 주민과 상인들은 군의 잦은 수치 변경에 강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

한 상인은 “성과 홍보에만 신경 쓰다 보니 숫자가 오락가락한다”며 “군이 먼저 정확한 통계를 공개하고 책임 있게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50만 명이라고 홍보해놓고 며칠 뒤 자료에선 삭제했다면 누가 믿겠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 군 “추정치라 보완 가능” 해명…논란은 계속

청송군 관계자는 “경제효과는 추정치 중심으로 작성한 자료”라며 “필요한 부분은 보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주민들은 “먼저 50만 명 누락 이유와 산정 방식부터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로컬세계 / 이창재 기자 sw4831@naver.com

[ⓒ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