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독립유공자의 집.(왼쪽부터 정찬민 용인시장 오희옥지사) |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경기도 용인시가 “여생을 고향에서 보내고 싶다”는 ‘3대 독립운동가’인 오희옥(92·여) 지사의 고향집을 마련해 준공식을 가졌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정찬민 용인시장을 비롯해 주택 건립에 도움을 준 재능기부 기관‧단체 관계자, 해주오씨 종중 관계자, 지역주민 등이 참석했다.
준공식에서 참석자들은 입구에 ‘독립유공자의 집’이라고 새겨진 50cm×30cm 크기의 나무문패를 부착했다. 또 오 지사 주택건립을 위해 재능기부나 건축기금 기부 등으로 동참한 15개 기업‧단체가 감사패와 표창장을 받았다.
![]() |
| ▲독립유공자의집 준공식에서 오희옥지사와 내빈들이 테이프커팅을 하고있다. |
정찬민 시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독립운동가를 기리는 한마음 한뜻으로 주택건립에 힘을 모아준 각계각층의 용인시민들이 자랑스럽고 고맙다”며 “오 지사께서 고향에서 즐겁고 편안한 여생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좋은 집을 지어줘서 고맙다”며 “나라 사랑에 몸 바친 선열들을 기억하고 존중하는 보훈문화가 뿌리내리도록 지역과 국가사랑에 더 노력하고 싶다”고 말했다.
착공 6개월만에 준공된 오희옥 지사가 거처할 주택은 처인구 원삼면 죽능리 527-5번지에 위치해 있다. ‘독립유공자의 집’이라고 명명된 이 주택은 대지 438㎡에 방 2개와 거실, 주방을 갖춘 1층 단독주택으로 지어졌다.
![]() |
| ▲독립유공자의 집 전경. |
‘오희옥 지사 고향정착 프로젝트’는 지난해 3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수원의 보훈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오지사가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여생을 고향인 용인에서 살고 싶다는 희망을 밝히자 용인시민들이 집 마련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우선 주택 건립을 위해 오 지사의 집안인 해주오씨 종중에서 고향인 원삼면 죽능리에 집터를 무상으로 제공했다. 용인시 공무원들도 건축비로 2133만원의 성금을 모아 전달했다. 용인독립운동기념사업회와 원삼면기관단체장협의회에서도 각각 100만원, 500만원을 후원했다. 용인지역 기업들의 건축·토목설계와 시공·조경 등 재능기부및 가전제품과 소파‧식탁 등 생활물품도 기부가 들어왔다.
한편 오 지사는 지난해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광복절 중앙경축식’에서 무반주로 애국가를 열창해 국민들에게 큰 울림을 주기도 했다. 오 지사는 이날 준공식에 앞서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에서 열린 경기도 삼일절 기념행사에 참석했으며 준공식 후에는 기존 수원보훈아파트 자택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의 예방을 받고 환담을 나눴다.
![]() |
| ▲오희옥 지사. |
오 지사는 수원보훈아파트와 용인 독립유공자의 집에 번갈아 머물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오 지사에게 차량과 의료 등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오희옥 지사는 할아버지인 오인수 의병장(1867~1935)이 일제시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의병으로 투신해 용인과 안성 등지에서 활약하다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했다. 아버지 오광선 장군(1896~1967)도 일제 강점기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독립군단 중대장, 광복군 장군으로 활약했다. 오희옥 지사는 2살 터울의 언니인 오희영 지사(1925~1969)와 함께 13살 나이에 중국 류저우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해 일본군의 정보수집과 일본군내 한국인 사병을 탈출시키는 역할을 도왔다. 오 지사는 이런 공로를 인정받아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다. 현재까지 생존한 여성독립운동가는 민영주, 유순희, 오희옥 지사 3명이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