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자립형 수소 생산체계 본격 추진”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3일 경기 성남시 성남정수장에서 ‘그린수소 출하 기념행사’를 열고, 수력에너지로 생산된 그린수소를 국내 최초로 수소충전소에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급은 수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활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만든 그린수소를 수소충전소에 제공하는 첫 사례로,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성남정수장 내 그린수소 생산시설은 환경부가 수소차 보급 확대와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22년부터 추진해온 사업이다. 국비 31억 원과 한국수자원공사 자체 재원 13억 원 등 총 44억 원이 투입됐다.
이 시설은 하루 최대 188kg, 연간 62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수소승용차 약 40대를 하루에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오는 9월까지는 운송 차량을 통해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소재 수소충전소에 공급되며, 10월부터는 성남정수장 인근 신설 수소충전소에 배관을 통해 직접 공급된다.
환경부는 현재 밀양댐과 충주댐에도 유사한 수력 기반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구축 중이다. 이들 시설은 각각 2026년, 2027년 완공 예정이며, 2028년부터 하루 총 1,069kg의 그린수소를 생산해 수소승용차 약 214대를 충전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자체와 협력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지역 자립형 그린수소 생산체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차량용 수소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과 가격 경쟁력 확보, 충전 편의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류필무 환경부 대기미래전략과장은 “이번 공급은 실증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활용 단계에 진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지속적인 인프라 확대를 통해 수소경제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khsung12@nate.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