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정부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K-컬처’ 열풍에 발맞춰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관광 정책 혁신에 나섰다. 방한 외래객 3천만 시대를 대비해 인바운드 확대, 국내관광 활성화, 산업기반 혁신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범정부 차원의 대응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25일 서울 한국관광공사 하이커그라운드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입국 3천만을 넘어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는 13개 부처 장·차관, 관광업계 및 전문가, 민간기업인 등 70여 명이 참석해 관광산업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김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올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열리는 만큼, 세계에 K콘텐츠의 힘을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며, “정부는 문화관광산업을 미래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해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발표한 관광혁신 3대 전략은 ▲방한 관광(인바운드) 혁신 ▲국내관광 혁신 ▲정책·산업기반 혁신으로 구성된다.
방한 관광 혁신: 제2·3의 관광권 육성, ‘K-컬처’ 연계 체험 확대
정부는 수도권에 집중된 방한 관광 수요를 지역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올해 안에 수도권을 제외한 주요 권역 2곳을 ‘제2·3의 인바운드 관광권’으로 선정해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부처별 관광사업을 연계하고, 규제 개선 및 AI 기반 관광 서비스를 통합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한 의료·웰니스·MICE(마이스) 등 고부가가치 관광시장 집중 육성도 추진된다. 국제회의 입국 심사 간소화 기준은 기존 500명 이상에서 300명 이상으로 완화되어, 10월부터 정식 시행된다.
‘K-컬처’와 연계한 관광 콘텐츠도 대폭 확장된다. 수도권에 대형 공연형 아레나를 조성하고, 지역 한류체험 공간 및 대중음악 체험시설을 마련해 팬덤 기반 관광을 본격화한다. 이와 함께 외국인 관광객 대상 교통·입장권 통합 관광패스 개발, K-ETA 면제 연장, QR 간편결제 시스템 확대 등 수용태세도 대폭 개선될 예정이다.
국내관광 혁신: 반값여행·관광주민증·워케이션 확대
국내여행 활성화를 위해 지역 체류형 여행을 유도하는 ‘반값여행’과 ‘연박할인권’, ‘섬 숙박할인권’이 신설된다. 여행객이 지역 체류 시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최대 50%까지 경비를 환급받을 수 있다.
지자체 주도의 ‘관광주민증’도 실효성을 높여 정주 인구 외에 ‘관광형 생활인구’ 확대를 유도하며, 원격 근무(워케이션)와 연계된 체험형 관광 모델도 발굴·확산된다.
또한 장애인·고령자·임산부 등을 위한 ‘무장애 관광’을 실현하기 위해 관광취약계층에 대한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이고, ‘가칭 핫스팟 가이드’ 구축을 통해 지역관광지 홍보도 SNS 중심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정책·산업 기반 혁신: 법·제도 개편, 관광특구 재설계
관광산업 기반을 전면 개편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관광기본법' 개정과 '관광진흥법'을 '관광산업법'과 '지역관광발전법'으로 분법하는 등 법체계를 정비하고, 1993년 도입된 관광특구 제도는 자율성과 성장잠재력 중심으로 개편된다.
또한, 관광개발사업 예산을 포괄보조금 방식으로 전환하고, 지자체 주도의 지역관광펀드를 조성해 민간자본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관광 정보도 통합 플랫폼으로 일원화하고, 관광분야 AI특화펀드 조성과 기술혁신 지원을 통해 스마트관광 기업을 육성한다.
특히 관광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의 비전문취업(E-9) 비자 전환을 추진하고, 신중년·경력단절 여성의 관광업계 진출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전략 발표를 통해 관광산업을 국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숙박·교통·결제 등 외국인 관광객의 고질적 불편 해소에 범정부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khsung12@nate.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