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단계 ‘15년 대비 ‘16년 부적합율 0.33% → 0.14%로 감소
농산물 안전성조사 등에 관한 조례 제정 추진
[로컬세계 주덕신 기자]경기도가 시민단체와 합동으로 부적합 농수산물을 폐기시키고 사전차단하며 실시하고 있는 농식품에 대한 안전성 관리가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도에 따르면 도내 148개 대형유통매장의 농축수산물 안전성 부적합률은 지난 2015년 0.33%에서 2016년 0.14%로 감소했다. 농수산물시장 등에서 수거된 출하농산물 부적합 건수는 2015년 260건에서 2016년 241건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했다.
도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시민단체와 연계해 생산지 농산물 안전성 모니터링과 소비자 홍보활동을 펼치고, 경기도지사가 인증한 G마크와 학교급식으로 납품되는 농산물 등 생산단계에서 부적합 농산물을 차단해 왔다.
또 생산단계부터 농산물 250건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G마크 인증업체에 대해서는 인증단계와 사후관리단계로 나눠 점검해, 245건에 대해서는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다.
중·대형 유통매장에서 판매중인 유통단계 농수산물에 대해서도 총 6339건의 잔류농약 등 검사를 실시해 7건의 부적합 농수산물을 적발하여 전량 수거·폐기 조치했다. 검사결과 성적서도 매장에 게시해 도민에게 안전한 먹을거리 정보를 제공했다.
이와 함께 도지사의 책임을 강화하고, 예산 및 인력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경기도 농산물 안전성 조사 등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 중이다. 관련 조례는 의회 조례안 심의를 거쳐 6월중 제정·공포될 예정이다.
조례는 도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생산 환경, 농자재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보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토록 하고, 농산물 안전성 분석과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보급 등에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석종 도 농식품유통과장은 “먹을거리 안전성과 소비자 신뢰확보를 위해 생산단계에서 유통단계까지 철저히 검사하고 지도·홍보를 강화하겠다”며 “경기도가 지향하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행복한 넥스트 농정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올해 초 ‘2017년 경기도 농식품 안전관리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잔류농약 조사 1만1220건, 방사성 물질 조사 1100건, 원산지 표시 지도·단속 등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