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김림 기자] 삼성물산·현대건설·포스코건설·대우건설 등 상위 25개 건설업체가 지난달 28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수주산업 회계투명성 제고방안’에 대해 집단 반발하고 나섰다.
건설업체는 이번 발표가 해외 수주 산업의 경쟁력 약화는 물론 국민경제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며,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국회 정무위원회 등에 연명 탄원서를 지난 27일 제출했다.
특히 공사진행률·충당금·미청구공사 등 주요 사업장별 중요 정보가 공개되면 공사원가(원가율) 추정이 가능해 원가 정보 노출로 해외공사 수주에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게 건설업체의 설명이다.
아울러 해당 정부대책이 시행되면 원가절감을 위한 기술개발 노력 유인이 상실돼 기술 경쟁력 향상에 제동이 걸리고 수익성도 저하될 것이라 밝혔다.
또 ‘핵심감사제(KAM)’ 에 대해 회계인프라가 취약한 상황에서 실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문제, 수주산업에만 도입될 시 타 업종과의 형평성 문제 등을 제기했다.
건설업계는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해 회계 투명성을 높이는 정부정책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건설업계의 입장을 고려한 합리적인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핵심감사제'를 도입할 예정인 EU의 운영사례를 충분히 모니터링한 후 전체 산업에 동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시행시기도 최소 1년의 경과기간을 두고 오는 2017년부터 시행할 것을 건의했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적절한 접점을 찾아 회계투명성 제고와 업계의 부담 완화 라는 수용 가능한 대안을 찾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