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 폐기물 등 2차 오염 우려 폐기물은 선처리 후 정산”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정부가 집중호우로 발생한 재난폐기물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전국 단위 대응에 나섰다.
환경부는 23일 오후 충북 청주 흥덕구 오송역 인근 회의실에서 ‘폐기물 처리지원반 회의’를 열고, 지자체와 협력해 피해지역 복구의 첫 단추인 재난폐기물 처리에 속도를 낸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환경부 자원순환국, 전국 7개 유역환경청과 지방환경청, 한국환경공단 전문가 등 약 70명이 참석해 △재난폐기물 발생 규모 산정 △처리 상황관리 △현장 점검 및 기술지원 △장비 지원 △국비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환경부는 수해로 인해 다량의 재난폐기물이 발생한 상황에서 각 지자체의 신속한 수거·운반·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용역 계약 상황과 일일 수거 실적을 집중 관리하고 있다. 용역이 지연되는 지자체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행정지원을 강화하고, 복구계획이 확정되는 즉시 국비를 신속하게 교부할 방침이다.
또한, 재난폐기물 발생 규모의 산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에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의 전문가를 투입해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주 7월 16일부터 20일까지의 집중호우로 산청 793.5㎜, 합천 699.0㎜, 광양 617.5㎜, 서산 578.3㎜, 광주 527.2㎜의 누적 강수량이 기록됐으며, 전국적으로 234곳의 축산농가(면적 약 38만㎡)가 침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악취, 해충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축산 폐기물이 대량 발생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복구계획이 확정되기 전이라도 지자체가 자체 예산으로 긴급히 처리한 뒤, 이후 국비로 정산이 가능하도록 지원 체계를 운영 중이다.
환경부 소속 환경청은 재난폐기물 임시적환장, 수거 현장, 처리시설 등을 매주 점검하며, 지자체와 협력해 발생 민원 및 현장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석면 슬레이트, 폐유 등 지정폐기물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기준을 안내하고 적정 처리 방안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각 지자체별 재난폐기물 처리계획을 검토하고, 임시적환장 설치 위치, 수거 동선, 환경관리방안 등에 대해 현장 자문 및 기술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수거장비가 부족한 지자체에는 환경공단과 계약된 전국 109명의 집게차 보유 사업자를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이와 별도로 환경부는 e순환거버넌스와 협력해 수해 지역 내 폐가전제품 및 폐태양광 패널의 방문수거 서비스도 지원한다.
환경부는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해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가이드라인)’를 사전에 배포하고, 지난 6월 27일에는 전국 지자체 폐기물 담당 공무원 150명을 대상으로 실무 교육도 실시하는 등 대응 역량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재난폐기물 처리는 피해 복구의 시작이며, 피해 주민의 일상 회복을 앞당기는 중요한 작업”이라며 “정부와 지자체의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한 처리와 환경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로컬세계 / 고현성 기자 khsung12@nate.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