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해도, 창의성, 실현가능성 등 전문가 평가로 대상‧최우수상 총 6개 팀 선정
![]() |
[로컬세계 = 이명호 기자] 새로운 저층주거지 정비방식인 ‘모아타운’의 디자인 아이디어 및 발전모델 발굴을 위해 서울시가 올해 처음 시도한 ‘대학협력 프로젝트’가 공개된다.
서울시는 오는 25일 서울시청 신청사(8층 다목적홀)에서 ‘모아주택・모아타운 대학협력 프로젝트 성과공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는 프로젝트에서 제안된 아이디어를 모형과 패널로 제작해 오는 25일부터 9월 22일까지 신청사 1층에 전시한다.
‘모아주택·모아타운’의 사업 발전 모델과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시작된 ‘모아타운(모아주택) 대학협력 수업연계 프로젝트’는 지난해 12월 참여대학 공모를 시작, 올해 초 12개 대학(원)을 선정하고 1학기 수업과 연계해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선정된 대학은 올해 1학기에 프로젝트 수업을 개설, 교수와 학생이 ‘모아타운’ 관련 주제를 수학·연구해 디자인 아이디어, 정비모델을 발굴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시는 지난 2월 선정된 대학(원)별로 최대 1000만원의 실행비를 지원했다.
프로젝트에는 서울 포함 전국 소재 12개 대학(원), 62개 팀(105명)이 참여했으며 서울 시내 △고도지구 △자연경관지구 △역사문화환경보존지구(지역) 등 도시계획적 규제로 사업 여건이 불리한 지역을 발굴한 뒤에 대상지에 적합한 모아타운 계획(안)을 도출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이날 열리는 성과공유회에서는 대학별 대표 1개 팀이 프로젝트 결과를 발표,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평가하여 부문별(학부・대학원) 대상 1개 팀, 최우수상 2개 팀, 우수상 6개 팀을 선정해 시상한다. 또 우수발표 1개 팀을 별도로 선정하는 현장 투표도 이뤄질 예정이며, 참여교수 감사장 전달도 함께 진행된다.
대상(총 2개 팀) 및 최우수상(총 4개 팀)은 정책 이해도, 창의성, 실현가능성, 작품 완성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현장에서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또 대상 또는 최우수상 수상팀을 제외하고 참여교수로부터 각 대학(원)에서 우수한 모아타운 계획(안)을 마련한 학생(팀)을 추천받아 우수상(총 12개 팀)을 시상할 예정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대한민국 건축.도시계획을 이끌어 갈 학생들과 함께하는 첫 프로젝트에 열정적으로 참여해주신 대학에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며 “앞으로도 모아타운 발전 모델을 지속 발굴뿐만 아니라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들이 현장을 이해하고 익힐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지속 기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