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도 민관협치위원회'가 29일 공식 출범했다.(경기도 제공) |
이날 경기도청에서 열린 ‘민관협치위원 위촉식’에서는 위원장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를 비롯, 이화영 평화부지사와 도 실.국장 6명, 민간위원 20명 등 총 28명으로 구성됐다.
‘민간협치위원회’는 앞으로 ▲정책수립을 위한 의견수렴 ▲정책 결정 ▲시행 및 평가 ▲인식개선을 위한 소통강화 ▲제도개선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 등 자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재명 지사는 이날 위촉식 인사말을 통해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의 삶을 개선하는 것인데 언제부턴가 권한을 행사하는 대리인들이 권한을 행사할 때 마치 시혜를 베푸는 것처럼 착각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며 “직접 민주주의적 요소를 최대한 확대 강화하는 것이야말로 촛불을 든 국민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대한민국의 미래인 만큼 경기도는 ‘촛불민심’이자 ‘민주주의의 기본 논리’를 최대한 반영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민관협치위원회가 도민들의 의견을 경기도정에 반영하는 유용한 통로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민관협치위원 위촉식’에 이어 진행된 첫 공식회의에서는 부위원장 선출(민간위원 중)과 분과위원회 구성 등에 관한 토의가 진행됐다.
부위원장에는 최순영 경기여성연대 공동대표가 선출돼 이화영 평화부지사와 함께 공동으로 위원회 부위원장직을 수행하게 됐다.
이와 함께 분과위원회는 ▲운영분과 ▲제도개선 ▲의제형성 ▲역량강화 등 4개 일반분과와 1개 특별분과 등 총 5개 분과 위원회로 구성됐다.
4개 일반분과에서는 위원회 운영 전반과 협치 대상 사업선정, 공무원 및 시민단체 활동가의 역량 강화 등에 대한 사항을 추진하고 특별분과위원회는 불합리한 생활적폐를 청산하는 과제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도는 ‘민관협치위원회’의 자문을 바탕으로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역점 추진과제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역점 추진과제’는 ▲추진체계 ▲리더십 ▲주체별 역량 ▲생태계 조성 등 4개 분야 중심의 11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1년에 2차례씩 정기회의를 진행하는 한편 필요할 때마다 임시회의를 열어 민관협치 활성화에 관한 주요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