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이후 중단됐던 협치 채널 정상화…예산·조례안 등 신속 처리 기대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의회 간 민생현안 협의를 위한 소통·협치 기구인 ‘여야정협치위원회’가 활동을 재개한다고 13일 밝혔다.
2023년 출범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협치 채널이 다시 가동되면서 주요 도정이나 조례안·예산안 처리와 도정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 최종현 더불어민주당 대표, 백현종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수원시 도담소에서 ‘2025년 여야정협치위원회 협약식’을 열고 공동협약서에 서명했다.
김 지사는 “이번 폭우로 가평, 포천 등에서 피해가 있었는데, 복구 과정에서 도의회 여야가 한목소리로 힘을 모아준 모습이 도민과 도 발전을 위해 당을 넘어 협력할 수 있다는 좋은 본이 됐다”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앞에 놓인 해바라기는 태양을 향해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특징이 있다. 경기도와 대한민국 발전, 새 정부 성공을 위해 힘을 합치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9월 본회의에서는 내년도 예산안 심의, 행정감사 등 많은 현안이 있다”며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기쁘다. 경기도 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시 힘을 모으자”고 덧붙였다.
김 의장은 “경기도는 1천420만 도민이 사는 지방정부로 책임감이 크다”며 “여야정협치위원회를 잘 이끌어가면 더 나은 삶과 내일을 위한 경기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종현 대표는 “도민 삶의 질을 높이는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으며, 백현종 대표는 “여야정협치를 위한 조례 제정을 검토하고, 분과위원회에서 전문성을 가진 인사들이 상시 소통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공동협약에 따라 위원회는 기존 22명에서 경기도지사, 도의회 의장, 도 집행부 4명, 양당 각 4명 등 총 14명으로 축소했다. 도정 주요사항, 조례안·예산안, 사회적 쟁점, 정책·전략사업 등을 협의하고, 필요 시 분과위원회를 설치해 실행력을 높인다. 실무회의는 매월 첫 주, 본 위원회 회의는 분기 1회(연 4회) 개최하며 긴급 현안 발생 시 수시로 연다.
협약식 후 고영인 경제부지사, 박용진 협치수석, 양당 대표는 도의회 12층에 마련된 위원회 사무실 현판식을 진행했다. 상시 소통을 위해 사무실을 도의회에 둔 것이다.
여야정협치위원회는 2022년 ‘여야정협의체’로 출범해 민생정책 발굴을 목표로 활동했으나, 2023년 확대 개편 이후 성과를 내지 못했다. 복원 계기는 지난 6월 김 지사, 김 의장, 여야 대표의 ‘치맥 회동’이었다. 이후 실무 논의를 거쳐 이날 협약식으로 이어졌다.
협약식에는 도의회 의장단, 양당 대표단, 고 경제부지사, 박 협치수석, 허승범 기획조정실장, 김상수 균형발전기획실장 등이 참석했다.
로컬세계 / 고기훈 기자 jamesmedia@daum.net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