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준공영제 추진위원회 5차 회의 모습.(창원시 제공) |
추진위원회에는 시민단체, 전문가(교통, 회계, 노무), 노동조합 대표, 공무원 등 10명과 준공영제 연구용역 관계자들도 함께 참석했고, 버스업계 사측을 대표하는 위원 2명은 불참했다.
이날 회의는 △시내버스 재정지원 지급체계 개선 방안 △운전기사 등 운수종사자 퇴직급여 적립방안 △시내버스 재정지원 조례 일부 개정 △시내버스 업체 동향 및 향후 주요 추진과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다.
특히 전체 노선의 운송원가와 수입금을 고려해 운행손실 보조금을 산정하는 ‘통합산정제’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현재 시내버스 9개 업체 136개 노선 688대가 운행 중이며, 이 중 110개 재정지원 노선 381대에 대해 적자분 전액 지원받고, 26개 비재정지원(수익) 노선 307대의 이익도 가져가는 체계로 타 지자체에 비해 많은 재정지원에서도 불구하고 이용객 서비스 개선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들 업체에 지난해 1년간 운행손실 적자분으로 지원된 예산이 300억원이 넘는다.
또 매월 운행손실 보조금의 일정 비율을 운수종사자 퇴직연금계좌에 의무적으로 적립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운송원가 산정 시 종사자 퇴직급여 원가를 산정해 지급했으나, 지난해 기준 9개사 퇴직급여 미적립금이 323억 원에 달하고 전체 적립율은 27.2%에 그치고 있다.
최영철 위원장(안전건설교통국장)은 "버스업체가 작년 연말 대표자 간담회와 추진위 회의에 불참해 대화를 거부하는 것은, 시민의 발인 시내버스 운영주체로서의 기본적인 자세에도 맞지 않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최 위원장은 "그렇지만 시는 업체의 입장을 고려해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협의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내버스 개선에 대한 업체의 미온적인 태도와 달리 시민단체에서는 마산YMCA 등 11개 단체가 참여하는 ‘창원시내버스 개혁 시민대책위원회’ 창립총회와 발대식을 오는 16일 창원YMCA 회의실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