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회장,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 한국산업은행 회장, 국회의원, 전문가 등 100여명 참석
'동남권의 신(新) 성장축 육성을 위한 산업발전 방안'을 주제로 동남권 산업발전 방안과 정책금융 역할 등 논의
부산시, 한국산업은행과 8조원 특별상품 출시
'케이디비(KDB) 넥스트원 부산' 설치
'브이 런치(V:Launch)' 운영 통해 '한국산업은행법' 개정 전
![]() |
▲부산시와 한국산업은행 공동주최, 사단법인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주관으로 27일 오후 누리마루에이펙(APEC) 하우스에서 열린 '동남권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가 종료된 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앞줄 왼쪽부터 세번째 양재생 부산상의회장, 김광회(네번째)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 강석훈(다섯번째) 한국산업은행 회장, 이헌승(여섯번째) 국회의원 순>. 한국산업은행 제공 |
[로컬세계 부산=전상후 기자] 부산시와 한국산업은행은 27일 오후 누리마루에이펙(APEC) 하우스에서 '동남권 산업발전 방안' 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행사 주관은 사단법인 부산국제금융진흥원이 맡았다.
이날 세미나는 '동남권의 신 성장축 육성을 위한 산업발전 방안'을 주제로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동남권 산업발전 방향과 지역 성장 견인을 위한 정책금융 역할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광회 시 미래혁신부시장,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이헌승 국회의원을 비롯해 부산·울산·경남 지자체와 연구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 부·울·경 지자체와 연구기관이 대거 참석한 것은 한국산업은행 본점의 부산 이전이 부산뿐 아니라 중후장대 산업의 도시 울산, 중소기업이 지방에서 가장 많은 경남까지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날 세미나는 환영사, 축사, 주제발표, 정책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주제발표 분과(세션)에서는 ▲한국산업은행 종합기획부 백웅조 팀장, ‘동남권 산업 개관’ ▲부산연구원 배수현 실장, ‘부산 산업발전 방향’ ▲울산연구원 이경우 실장, ‘울산 산업발전 방향’ ▲경남테크노파크 김승철 단장, ‘경남 산업발전 방향’ ▲한국산업은행 동남권지역본부, ‘동남권 기업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특히 동남권 전통 주력산업 및 미래성장산업에 대한 분석내용과 동남권 산업에 대한 한국산업은행의 금융지원 방안은 현장 참석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후 정책토론 분과(세션)에서는 산업연구원 김영수 박사가 좌장을 맡아, 앞서 발제를 맡은 발표자들과 ‘동남권 산업 발전방안과 정책금융의 역할’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부산시와 한국산업은행은 8조원 특별상품 출시, '케이디비(KDB) 넥스트원 부산' 설치, '브이 런치(V:Launch)' 운영을 통해 동남권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해 '한국산업은행법' 개정 전이라도 실질적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아울러 지난해 한국산업은행 지역성장부문 이전, 동남권투자금융센터 및 해양산업금융2실 신설에 이어 올해 10월에는 남부권투자금융본부를 신설해 부산이 남부권 성장거점이 될 수 있도록 협력사업을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동남권 지역의 발전과 대한민국 재도약을 위해선 동남권 신성장축 육성과 수도권 일극체제의 극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8조원 규모의 지역경제 재도약을 위한 특별 전용상품을 비롯해 지역특화 벤처플랫폼, KDB 넥스트원 부산 등 지역완결형 혁신생태계 구축, 독자적인 종합금융 지원체계인 남부권투자금융본부 신설로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역설했다.
김광회 시 미래혁신부시장은 “올해는 구체적으로 지역산업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정책 수단에 대해 논의하는 각론에까지 이르렀다”며 “이날 세미나에서 제시된 방안을 토대로 지역산업과 정책금융을 잘 융합해 부산이 남부권을 아우르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을 견인하고 정책자금에 목말라 있는 동남권 지역기업들에게 혁신성장의 기회가 될 것이며, 국제금융도시 부산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며 “지역기업의 좋은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청년들도 살아온 지역에서 정주하며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결론적으로 산업은행 부산이전은 부산을 넘어 동남권 전체의 발전을 앞당기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라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