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조윤찬 기자]저소득층 유·청소년들의 체력증진과 건전한 여가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이 도입 취지와 달리 최근 3년간 평균 44.3%의 저소득층 탈락자를 발생시켜 상대적 발탁감을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승래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유성갑)이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5만4867명의 저소득층 학생들이 스포츠강좌 이용권을 신청했지만 그 중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의 학생들만이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어렵게 선발된 학생들도 이용가능 시설이 특정 종목에 편중돼 있어 선택권에 제약을 받고 있다. 현재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수강하는 상위 5개 종목은 태권도, 수영, 검도, 헬스, 축구 순으로 5년째 변동이 없다. 이들 상위 5개 종목이 총 이용가능 종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4%에 이른다.
특히 태권도 한 종목이 차지하는 비율이 58%에 이르며 종목에 따라 시·도 전체에 1개의 시설만 이용 가능하거나 아예 이용 가능 시설이 없는 종목도 태반이다.
시설 확대를 위해서는 스포츠시설주들의 참여확대를 위한 홍보와 설득 작업이 필요하지만 현재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지자체의 홍보사업은 수혜대상인 소외계층 학생들에게 집중돼 있다.
게다가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올해부터 2년 이상 혜택을 받은 학생들은 후순위로 밀리는 기준을 도입해 사실상 선발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이제 막 스포츠에 재미를 붙인 아이들에게 도리어 더 큰 상실감만 안겨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조 의원은 “스포츠강좌이용권 사업은 별도로 체육 강좌를 수강하기 어려운 유·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사업인 만큼 다양한 종목을 꾸준히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단기간 혜택만 부여하면서 생색내기용 제도로 전락하지 않도록 내실 있게 운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