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최원만 기자]경기도가 공공기관 급식에 관내 농산물을 우선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00인 이상 공공기관으로 확대되면 연간 800억원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어 농가소득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26일 도에 따르면 올해 5개 공공기관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423개 공공기관에 경기도산 농축산물을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도는 지난 4월부터 도청 구내식당과 경기도 어린이집 2곳에 관내 농산물을 우선 공급하고 있으며 하반기에 이를 5개 공공기관으로 늘릴 방침이다.
특히 100인 이상의 공공기관에만 납품해도 연간 800억원 정도의 식재료 판매가 가능해 농가소득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도는 전망했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에는 약 3만 개의 행정기관과 공공의료기관이 있으며 이중 종사자가 100인 이상인 공공기관만 추려도 423개 기관에 13만명이 근무하고 있다”면서 “100인 이상 공공기관에만 납품해도 연간 800억원 정도의 식재료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도 산하 행정기관과 소방서, 출자출연기관 중 100인 이상의 기관에 공급해도 연간 50억원 이상의 매출도 가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급식에 경기도산 농산물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농가와의 계약재배를 확대하고 도내 농산물의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관련 조례를 개정하기로 했다.
현행 조례는 농산물을 우선 사용토록 하고 있지만 강제규정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에서다. 도는 공공기관이 관내 농산물을 우선 구매하지 않을 경우 도지사에게 그 이유를 보고하는 조항을 조례에 추가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도는 시·군별 로컬푸드와 연계해 농가를 조직화 하는 등 농산물의 안정적인 생산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원용 경기도 농정해양국장은 “이번 공공기관 납품 추진계획은 도가 발표한 넥스트 농정비전에 따른 것”이라며 “공공기관 뿐 아니라 경기도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계속해서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