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듀오피부과 홍남수원장(전문의, 의학박사) |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한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사마귀가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아이들의 사마귀가 방치해 두면 사마귀를 손톱으로 잡아 뜯거나 이빨로 물어 뜯는 경우가 많아 방치할 경우 손톱이나 입 주변으로 사마귀가 전이될 수도 있다.
손톱으로 사마귀가 전이된 경우 조갑기질을 변형시켜 손톱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보호자가 관심을 가지고 살펴봐 줘야 한다.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한 사마귀 이외에도 아이들의 경우 폭스 바이러스군의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연속종도 주의해야 한다. 무사마귀로 알려진 전염성 연속종은 쌀알 모양의 주머니 안에 바이러스로 가득 차 있어 터트릴 경우 주변으로 쉽게 퍼지게 된다. 전염성 연속종이 너무 많이 퍼진 경우에 치료를 할 경우 아이들이 치료를 힘들어 할 수 있어 퍼지기 전에 치료를 해야 한다.
사마귀 치료방법은 주사요법이나 냉동치료, 약물도포, 레이저 치료를 통해 물리적으로 사마귀를 제거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사마귀는 피부의 양성 종양 형태이므로 치료 후 흉터가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사마귀가 크게 커진 경우 탄산가스 레이저를 이용해서 깎아 준 후 펄스 다이 레이저를 이용해서 마무리 할 경우 흉터를 적게 남기고 치료할 수 있다.
작은 사마귀의 경우는 탄산가스 레이저 또는 펄스 다이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를 할 수 있다. 보통 사마귀의 위치나 크기, 숫자, 2차 세균감염 여부, 그리고 개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지고, 펄스 다이 레이저를 이용할 경우 2~3회의 치료가 필요하지만 탄산가스 레이저 치료에 비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아 성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레이저 치료 이외에도 액화질소를 이용한 냉동치료는 또한 전기소작술에 비해 흉터를 남기지 않고 치료가 가능해 피부과에서 보편적으로 사마귀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번 시술을 해야 하는 불편함은 있다.
성인에게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편평사마귀의 이마, 입가, 코 주변, 손에 주로 발생하고 보통 사마귀와 달리 편평사마귀는 잡티 또는 좁쌀여드름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아 압출을 하거나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편평마사귀는 자연적으로 소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주변으로 많이 전이 된 다음에 치료를 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치료 후 일정 시간 동안 생활의 불편함을 초래하므로 피부에 갑자기 색소 질환이 생겼다면 피부과 진료를 통해 편평사마귀 유무를 확인 하는 것이 좋다.
편평사마귀의 치료는 CO2 레이저 또는 Q-스위치 루비 레이저 등을 이용한 레이저 치료를 하게 되는데 부위에 따라서는 몇 일 정도 세안과 화장을 못하게 되는 생활의 불편함을 겪을 수 있어 사전에 계획을 세우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듀오피부과 홍남수 원장은”사마귀는 다른 피부 질환과 감별을 해서 치료를 해야 하므로 피부과 전문의 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사마귀를 방치할 경우 주변으로 번지기 쉽고 치료를 받더라도 재발을 하기 쉬워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하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사마귀가 완치될 때까지 꾸준하게 여러 번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컬세계 마나미 기자]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