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시에 따르며 정부의 일괄적인 복지기준에 따른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 누구나 어디서나 적정수준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인천의 복지기준선을 세워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들에게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박남춘 시장은 지난 15일 시민의 날 기자회견에서 민선7기 4년의 시정운영계획을 발표하며 “인천 복지기준선을 마련해 300만 인천 시민이 누리는 기본적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인천 복지기준선 설정은 민선7기 인천시의 20대 시정전략 중 ‘소외없이 누리는 맞춤형 복지’ 부문의 핵심의 하나다.
먼저 시는 소득, 주거, 돌봄, 건강, 교육, 사회적 경제의 6개 영역에서 시민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복지의 최저선과 적정선을 정한다.
소득 분야는 시민이 누려야 할 최저 및 적정 소득기준, 주거 분야는 최저 주거기준 및 주택 공급방안, 돌봄 분야는 장애인·아동 돌봄 서비스 등 확대 방안, 건강 분야는 지역별 건강불균형 해소 대책, 교육 분야는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최소·적정기준 및 인재양성, 사회적경제 분야는 소외계층에게도 취업 기회가 다양한 여건 조성 등을 위한 인천만의 기준 등이 마련된다.
시는 올 연말에 출범예정인 인천복지재단에 ‘인천복지기준선 설정’ 연구용역을 의뢰해 니년부터 전격적으로 6개 분야에 대한 복지적정선을 설정하기 위해 시민들의 복지욕구 조사를 실시하고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듣는다.
복지기준선 사업은 시작 단계부터 다양한 계층의 시민과 사회적 합의과정이 필요한 사업 중 하나이므로 시민들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 홈페이지에‘시민 의견방’을 개설해 상시 운영하고 권역별로 시민 정책토론회, 공청회 등을 개최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시는 시민대표와 시장을 공동대표로 하는 ‘인천 복지기준선 설정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1월에 인천 복지기준선 용역 착수보고회 등을 개최해 2020년에 용역결과 적용여부에 대한 최종 검토보고회를 거쳐 인천 복지기준선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시혜성 복지사업으로는 복지사각지대 해소와 시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만큼 도움이 필요한 시민 누구나, 어디서나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인천에 맞는 인천 복지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