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방위산업 수출 선도할 ‘창원특례시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 발표로 글로벌 방산도시 도약
세계 Top 방산 도시와 ‘방산동맹’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창원특례시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 수립
![]() |
▲허성무 시장이 7일 '창원특례시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
[로컬세계 권인진 기자]경남 창원시는 7일 국내 방위산업의 메카 창원이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 뻗어가는 글로벌 방산 패권도시 실현을 위한 '창원특례시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에서 역점을 둔 사항으로는, 지역 방위산업의 도약과 방산 중소기업의 체계적 육성을 목표로 국내외 네트워크 협력 강화를 통한 해외시장 진출 플랫폼 구축과 ‘글로벌 방산 패권도시 실현’을 비전으로 삼았다.
아울러 ▶국내외 방위산업 네트워크 강화 ▶기술혁신형 방산강소기업 육성 ▶중소기업 해외수출 역량강화 ▶방위산업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4대 추진전략으로 정하고 20개 세부 실행과제 추진을 통해 세계적인 방산도시로 도약한다는 것이다.
창원시는 국내외 방위산업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총사업비 363억원을 투입해 6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 |
먼저, Five Eyes 국가 중 호주, 미국, 영국의 주요 방산도시와 '방산동맹 협력체계(Four Hands)'를 구축해 창원 방산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기술교류 활동에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또 창원에서 현재 추진 중인 대‧중‧소 상생마켓과 이순신 방위산업전을 글로벌 행사로 확대해 지역 방산기업의 해외 네트워크 및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기술혁신형 방산강소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총사업비 2576억원을 투입해 6개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관내 방산중소기업의 혁신제품 브랜딩 모델을 발굴하고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방산 혁신제품 브랜드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또 방산제품 역설계 지원센터를 구축 및 운영해 중소기업의 설계기술, 표준화 설계 데이터베이스 구축, 해석 소프트웨어 등을 지원한다. 방산 중소기업 간 협력을 통한 방산부품 모듈화, 첨단기술 상용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및 매출성과 창출에 기여할 예정이다.
![]() |
중소기업 해외수출 역량강화 방안으로 국내 최대 방산 집적지로 체계기업과 협력기업이 공존하는 창원의 특성을 살려 수출성과 도출을 위해 총사업비 111억원을 투입한다.
방산 전문인력을 활용해 방산수출 정보 제공 및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청취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창원 DTS(Defense Trade Support) 센터를 운영한다. 또 해외 MRO시장 및 해외 신규시장 수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대‧중소기업 협력 수출 플랫폼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방위산업 전문인력 역량강화를 위해 총사업비 100억원을 투입하여 일자리 창출에도 지원할 예정이다.
방산 중소기업의 채용 미스매칭을 해결하기 위하여 1:1 맞춤형 매칭 지원이 가능한 방산 중소기업 채용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방산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함은 물론, 지역인재들의 취업률 상승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창원의 과학기술인 및 방산대학원 재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인력 방산 R&D 참여 지원사업과 지역 특성화 및 마이스터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방위산업 트랙제를 운영 및 지원하여 방위산업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육성할 예정이다.
![]() |
허성무 시장은 “최근 우리나라 방산 기업의 해외수출 계약이라는 반가운 소식들이 전해지고 있다.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방산 중소기업까지 성과가 전해질 수 있도록 창원시에서는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며, 방위산업 대전환 계획을 바탕으로 창원 방위산업이 세계 방산 선도도시와 어깨를 나란히 함은 물론, 대한민국 수출산업을 이끌고 지역경제를 견인할 수 있도록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확실히 지원하고 챙겨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